본문 바로가기
2008.04.29 11:58

패수와 열수

조회 수 10360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패수와 열수

<삼국사기> 고구려 본기를 보면, 광개토왕 4년 8월에 왕이 패수(浿水)에서 백제와 크게 싸워 이겼다는 기록이 나온다. ‘패수’가 어디인지는 정확히 알기 어려우나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신라 선덕왕 때에 한산주에 ‘패강진’(浿江鎭)을 설치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황해도 평산에 ‘패강진’이 있었다고도 한다. 또한 패수를 열수(列水)라 부르기도 하였는데, ‘열’(列)은 ‘벌림’을 뜻하는 말이므로 거센소리가 되기 이전의 ‘패수’와 같은 말이다. 양주동은 <고가연구>에서 ‘패수’의 ‘배’를 ‘밝음’을 뜻하는 ‘ㅂ·ㄺ’으로 풀이한 바 있다. 이 풀이를 그대로 믿을 수는 없으나 ‘패수’의 ‘패’나 ‘열수’의 ‘벌’은 모두 땅이름에 쓰이는 ‘벌’과 깊은 관련이 있다. 다만 ‘벌’은 넓은 들을 뜻하며, 강을 낀 넓은 벌판은 사람이 모여 살기에 적합한 땅이 된다.

광개토의 아들인 장수왕은 사천(蛇川) 들에 나아가 사냥하면서 흰노루를 잡았고, 이후 평양으로 천도한 임금이다. 장수왕이 사냥했다는 ‘사천’ 또한 ‘뱀ㄴ·ㅣ’다. ‘사천’과 ‘사수’(蛇水)는 같은 뜻이니 이 또한 ‘벌’이다. 사학자 이병도는 ‘패수’를 청천강이라고 했는데, 한백겸의 <동국지리지>에 근거한 것이다. 그러나 땅이름 ‘패강·패수·사천’ 등이 ‘벌’과 관련이 있음을 고려한다면, 패수는 ‘벌’을 낀 강을 두루 나타내는 보통명사로 보는 것이 타당할 듯하다.

‘패수’에서 확인되는 ‘벌’의 땅이름 분포는 고조선의 영토 고증뿐만 아니라 우리 겨레의 뿌리를 찾는 데 귀중한 자료로 쓸 만한 보기라 하겠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68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15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052
3128 표준말의 기강, 의미와 신뢰 風文 2022.06.30 1441
3127 웰다잉 -> 품위사 風文 2023.09.02 1442
3126 괄호, 소리 없는, 반격의 꿔바로우 風文 2022.08.03 1446
3125 콩글리시 風文 2022.05.18 1447
3124 멋지다 연진아, 멋지다 루카셴코 風文 2023.04.17 1447
3123 어쩌다 보니 風文 2023.04.14 1449
3122 ‘끄물끄물’ ‘꾸물꾸물’ 風文 2024.02.21 1451
3121 개양귀비 風文 2023.04.25 1452
3120 금수저 흙수저 風文 2024.02.08 1452
3119 정치의 유목화 風文 2022.01.29 1453
3118 헛스윙, 헛웃음, 헛기침의 쓸모 風文 2023.01.09 1454
3117 바람을 피다? 風文 2024.01.20 1455
3116 4·3과 제주어, 허버허버 風文 2022.09.15 1457
3115 울타리 표현, 끝없는 말 風文 2022.09.23 1463
3114 마라톤 / 자막교정기 風文 2020.05.28 1467
3113 말다듬기 위원회 / 불통 風文 2020.05.22 1469
3112 ‘~면서’, 정치와 은유(1): 전쟁 風文 2022.10.12 1471
3111 너무 風文 2023.04.24 1472
3110 언어적 자해 風文 2022.02.06 1475
3109 지명의 의의 風文 2021.11.15 1476
3108 방방곡곡 / 명량 風文 2020.06.04 1483
3107 인기척, 허하다 風文 2022.08.17 148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