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9 11:56

각시취

조회 수 7231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각시취

풀꽃이름


 



‘각시취’는 양지 바른 가을 들판에 자라는 국화과 풀꽃이다. 신부의 상징색이 붉은 계열이다 보니, 짙은 분홍·자주·보랏빛 예쁜 꽃을 보고 각시를 붙였나 보다. 흔히 ‘각시’는 ‘각시수련·각시붓꽃·각시원추리’ 등의 쓰임을 볼 때 작고 연약하고 예쁜 풀꽃에 붙이는데, 각시취는 키도 크고 튼튼해 보이는 점이 좀 다르다.

‘각시’는 아내의 다른 말로서 주로 갓 시집 온 새색시를 이른다. 이는 옛말 ‘가시’에서 ‘갓시>갇시>각시’로 바뀐 것이다. 흔히 우리말 퀴즈에도 자주 나오는 ‘가시버시’를 국어사전들에서 대부분 ‘신랑신부’의 낮춤말로 풀이했는데, ‘버시’는 ‘벗+이’로 ‘각시를 벗 삼아’ 정다운 부부 모습을 가리키는 어찌씨로 보는 견해도 있다.

‘취’는 나물을 뜻하는데, ‘채’(菜)에서 변형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 어린 순은 봄에 나물로 해 먹는다. 잎에 털이 있어서 ‘참솜나물’이라고도 한다.

‘우렁각시’는 있어도 ‘우렁신랑’이 없는 현실은 새색시한테도 상당한 기대가 깃들어 있음을 본다. 힘든 티 내지 않으면서 살림도 잘 하고, 애도 잘 기르고, 돈도 잘 버는(효도도 잘 하는) 우렁각시는 예나 지금이나 남자들의 바람인 모양이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33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82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750
3149 가차없다 바람의종 2007.04.28 10555
3148 가책 바람의종 2007.05.25 11512
3147 가파르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2.07 8527
3146 가히·논개② 바람의종 2008.04.23 9693
3145 각각 / 씩 바람의종 2010.02.28 8127
3144 각광 바람의종 2007.05.28 5636
3143 각둑이, 깍둑이, 깍두기, 깍뚜기 바람의종 2009.11.09 14396
» 각시취 바람의종 2008.04.29 7231
3141 각축 바람의종 2007.05.28 6059
3140 간(間)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2.27 11553
3139 간디·무작쇠 바람의종 2008.06.18 6425
3138 간이 부었다 바람의종 2007.12.26 11785
3137 간절기 바람의종 2012.05.11 12163
3136 간지 바람의종 2009.03.03 8293
3135 간지 바람의종 2010.08.03 9613
3134 간지는 음력 바람의종 2010.01.20 13371
3133 간지럽히다 바람의종 2009.02.12 9422
3132 간지르다, 간질이다 바람의종 2009.08.03 8588
3131 간판 문맹 風文 2014.12.30 24367
3130 갈가지 바람의종 2009.07.30 7914
3129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8.10.30 743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