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8 07:20

터물·더믈

조회 수 8377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터물·더믈

사람이름

세종 3년(1423년), 김가물·김사안·김내거(金加勿·金沙安·金乃巨) 등 남녀 다섯이 요동에서 도망쳐 왔다. 본디 강계 사람으로, 요동으로 달아나 동녕위(東寧衛) 군대에 들어갔다가 고향이 그리워 도망 온 사람들이었다. 임금은 이들이 비록 우리 사람이나 중국 군대에 이름을 올렸으므로, 구실아치와 함께 그들을 요동으로 보냈다. 이름 표기에서 加勿(가물)은 ‘더믈’을, 高時加勿(고시가물)은 ‘고시더믈’을 적는다.

<용비어천가>에 夾溫猛哥帖木兒(협온맹가첩목아)·賽因帖木兒(새인첩목아)·兀魯帖木兒(올로첩목아)·高時帖木兒(고시첩목아) 따위 사람이름이 ‘갸온멍거터물·사인터물·우로터믈·고시더믈’로 적혀 있다. 帖木兒(첩목아)를 적는 ‘터물·터믈·더믈’ 가운데 앞서 본 바와 같이 ‘더믈’은 우리나라 말로 바뀐 것이고 ‘터물’은 몽골말 소릿값, ‘터믈’은 그 중간 꼴이다.

‘터물’은 몽골 사람 이름에 자주 쓰이는 밑말로, 쇠를 뜻한다. 그 자취는 야인과 우리나라 사람이름에 남아 있다. ‘부허’(不花)는 ‘부개·보개’로, ‘오부카/오부허’는 ‘어부개’로, ‘노하이’는 ‘노개’, ‘코이시터물’은 ‘고시더믈’로도 자리잡았다. 그 밖에 ‘바얀, 바두/바두리/바토/바토이, 사안/사얀, 돌치, 보라/보로, 야수개’ 따위 이름이 쓰였다. ‘돌치’는 티베트말로 도르찌(다이아몬드), 보로는 볼로르(수정)다. 몽골 사람 이름에는 지금도 티베트말이 자주 쓰인다. 이렇듯 사람이름에는 이웃과의 역사 관계에서 함께 쓰는 이름들이 있다. 조선 후기로 오면서 이런 영향은 자취를 감춘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22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97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650
3150 백열 / 풋닭곰 風文 2020.05.09 1743
3149 괄호, 소리 없는, 반격의 꿔바로우 風文 2022.08.03 1746
3148 8월의 크리스마스 / 땅꺼짐 風文 2020.06.06 1749
3147 1도 없다, 황교안의 거짓말? 風文 2022.07.17 1750
3146 ‘웃기고 있네’와 ‘웃기고 자빠졌네’, ‘-도’와 나머지 風文 2022.12.06 1750
3145 지긋이/지그시 風文 2023.09.02 1751
3144 만인의 ‘씨’(2) / 하퀴벌레, 하퀴벌레…바퀴벌레만도 못한 혐오를 곱씹으며 風文 2022.11.18 1752
3143 개양귀비 風文 2023.04.25 1753
3142 지명의 의의 風文 2021.11.15 1754
3141 단골 風文 2023.05.22 1755
3140 배운 게 도둑질 / 부정문의 논리 風文 2023.10.18 1756
3139 지도자의 화법 風文 2022.01.15 1759
3138 아이 위시 아파트 風文 2023.05.28 1760
3137 성인의 세계 風文 2022.05.10 1761
3136 대화의 어려움, 칭찬하기 風文 2022.06.02 1764
3135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766
3134 너무 風文 2023.04.24 1767
3133 울타리 표현, 끝없는 말 風文 2022.09.23 1768
3132 언어적 자해 風文 2022.02.06 1771
3131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771
3130 질척거리다, 마약 김밥 風文 2022.12.01 1773
3129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77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