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7 05:15

모시는 글

조회 수 17348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모시는 글

언어예절

청첩이 곧 ‘모시는 글, 모시는 말씀’이다. 초대장·초청장·청첩장으로 많이 쓰고, 청장·청찰이라고도 한다. ‘청첩장’은 ‘청첩’에 ‘장’이 붙어 겹친 말이 되었다. ‘첩’이나 ‘장’이나 공문서를 뜻하던 말이다.

삶에서 큰 일로 치는 성년(冠), 혼인(婚), 초상(喪), 제사(祭)를 두고도 두루 생각과 격식이 무척 바뀌고 흐려졌다. 허례허식 추방을 외치며 만든 ‘가정의례준칙’(대통령령)이 오히려 빛좋은 개살구가 될 지경이다. 전화·인터넷 따위 온갖 전달·소통 매체의 발달로 글발 양식이 달라져 간다. 한마디로 가볍고 어지럽다.

종이에 적어 주고받는 청첩장도 글틀이 어지럽다. 혼례 청첩은 집안 어른(부모) 쪽에서 내는 게 이치에 맞다. 상황 따라 혼인 당사자, 친구·친지·주례 등 제3자, 신랑 또는 신부 부모 쪽에서 따로, 양가에서 아울러 청첩할 때 등에 따라 글틀이 다른 게 마땅하다.

저마다 귀하디 귀한 혼례식을 올리면서 손님을 모신다며 하는 말이 조리가 서지 않고 청하는 주체가 흐릿하다면 정작 예식에 참례할 마음이 날 턱이 없다. 봉투에 모시는 이도 모심을 받는 이도 밝히지 않은 청첩장까지 나돈다. 큰일에 판박이 청첩이라니.

한 보기로 ‘주례’가 혼례 청첩을 한다면, 혼인 당자 어버이 이름, 신랑신부 이름을 밝히고서 “두 집안 어른이 가리시고 본인들 두루 백년을 함께할 뜻이 서서 여러 어른과 벗을 모신 앞에서 촛불을 밝히고자 하오니, 부디 오시어 빛을 베푸시옵고 보잘것없는 다과나마 즐겨 드소서” 정도로 모시는 글을 쓸 수 있을 터이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46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14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035
334 단소리/쓴소리 바람의종 2007.10.09 11719
333 휘하 바람의종 2007.10.09 13544
332 떼부자 바람의종 2007.10.08 11847
331 효시 바람의종 2007.10.08 13621
330 언어 분류 바람의종 2007.10.06 13475
329 환갑 바람의종 2007.10.06 18491
328 고려에 넣어? 바람의종 2007.10.05 8148
327 홍일점 바람의종 2007.10.05 10950
326 ‘기쁘다’와 ‘즐겁다’ 바람의종 2007.09.29 12607
325 호남 바람의종 2007.09.29 9152
324 상일꾼·큰머슴 바람의종 2007.09.28 12847
323 호구 바람의종 2007.09.28 8493
322 언어의 가짓수 바람의종 2007.09.26 13010
321 호구 바람의종 2007.09.26 11462
320 기다 아니다 바람의종 2007.09.23 14777
319 형극 바람의종 2007.09.23 12488
318 ‘김치’와 ‘지’ 바람의종 2007.09.22 7053
317 바람의종 2007.09.22 9183
316 행각 바람의종 2007.09.21 8350
315 합하 바람의종 2007.09.20 8494
314 한약 한 제 바람의종 2007.09.19 11169
313 한성 바람의종 2007.09.18 1126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