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0 03:38

기윽 디읃 시읏

조회 수 11056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기윽 디읃 시읏

남녘의 현행 한글맞춤법에서 ‘ㄱ·ㄷ·ㅅ’의 이름은 ‘기역·디귿·시옷’이다. 북녘의 조선어철자법에서는 ‘기윽, 디읃, 시읏’이다. 다른 자음의 이름은 모두 같다. 자음 이름에는 규칙이 있다. 자음에 모음 ‘이’를 결합한 첫 음절과, 모음 ‘으’에 해당 자음을 결합한 둘째 음절을 이름으로 한다. ‘치읓·키읔·티읕·피읖·히읗’ 등이 그것이다.

이런 차이는 왜 생겼을까? 한글 자음과 모음의 이름은 최세진이 1527년에 지은 ‘훈몽자회’에서 비롯되었는데, 관습적으로 쓰이는 이름을 인정한 남녘 규범과 통상적인 이름을 규칙에 맞도록 바로잡은 북녘 규범의 차이 때문이다.

훈몽자회는 어린이용 한자 학습서인데 한자 공부를 위해 한글(훈민정음)로 음을 달았다. 이 책에 한글의 쓰임과 음을 익힐 수 있도록 한글 자음과 모음을 한자로 소개했는데, 그것이 한글 자모 이름으로 굳어진 것이다. ‘ㄱ’을 ‘其役’(기역)으로 적어서 ‘기’의 첫소리와 같고, ‘역’의 끝소리와 같다고 설명한 것이다. ‘ㄴ’은 ‘尼隱’(니은)으로 적었다.

‘ㄱ·ㄷ·ㅅ’을 ‘기역·디귿·시옷’으로 적은 이유는? 한자 가운데 ‘윽, 읃, 읏’으로 발음되는 것이 없었기 때문이다. ‘윽’은 발음이 비슷한 ‘역’(役)으로 적고, ‘ㄷ’은 ‘池末’으로, ‘ㅅ’은 ‘時衣’으로 적은 뒤 ‘末, 衣’에는 표시를 해 두었다. 그 표시는 훈독, 곧 한자의 뜻으로 읽으라는 것이다. ‘귿 말’(끝 말)자를 ‘귿’으로 읽고, ‘옷 의’자를 ‘옷’으로 읽으면, ‘디귿, 시옷’이 된다. ‘池’는 16세기에 ‘디’로 발음되었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40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94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866
311 갈대와 억새 바람의종 2010.07.30 9433
310 갈대 바람의종 2008.05.12 6633
309 갈께/갈까 바람의종 2008.09.20 6905
308 갈기갈기, 갈래갈래,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9.10.28 10718
307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8.10.30 7474
306 갈가지 바람의종 2009.07.30 7957
305 간판 문맹 風文 2014.12.30 24484
304 간지르다, 간질이다 바람의종 2009.08.03 8652
303 간지럽히다 바람의종 2009.02.12 9469
302 간지는 음력 바람의종 2010.01.20 13433
301 간지 바람의종 2009.03.03 8343
300 간지 바람의종 2010.08.03 9652
299 간절기 바람의종 2012.05.11 12215
298 간이 부었다 바람의종 2007.12.26 11843
297 간디·무작쇠 바람의종 2008.06.18 6511
296 간(間)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2.27 11592
295 각축 바람의종 2007.05.28 6140
294 각시취 바람의종 2008.04.29 7298
293 각둑이, 깍둑이, 깍두기, 깍뚜기 바람의종 2009.11.09 14490
292 각광 바람의종 2007.05.28 5728
291 각각 / 씩 바람의종 2010.02.28 81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