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0 03:38

기윽 디읃 시읏

조회 수 10900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기윽 디읃 시읏

남녘의 현행 한글맞춤법에서 ‘ㄱ·ㄷ·ㅅ’의 이름은 ‘기역·디귿·시옷’이다. 북녘의 조선어철자법에서는 ‘기윽, 디읃, 시읏’이다. 다른 자음의 이름은 모두 같다. 자음 이름에는 규칙이 있다. 자음에 모음 ‘이’를 결합한 첫 음절과, 모음 ‘으’에 해당 자음을 결합한 둘째 음절을 이름으로 한다. ‘치읓·키읔·티읕·피읖·히읗’ 등이 그것이다.

이런 차이는 왜 생겼을까? 한글 자음과 모음의 이름은 최세진이 1527년에 지은 ‘훈몽자회’에서 비롯되었는데, 관습적으로 쓰이는 이름을 인정한 남녘 규범과 통상적인 이름을 규칙에 맞도록 바로잡은 북녘 규범의 차이 때문이다.

훈몽자회는 어린이용 한자 학습서인데 한자 공부를 위해 한글(훈민정음)로 음을 달았다. 이 책에 한글의 쓰임과 음을 익힐 수 있도록 한글 자음과 모음을 한자로 소개했는데, 그것이 한글 자모 이름으로 굳어진 것이다. ‘ㄱ’을 ‘其役’(기역)으로 적어서 ‘기’의 첫소리와 같고, ‘역’의 끝소리와 같다고 설명한 것이다. ‘ㄴ’은 ‘尼隱’(니은)으로 적었다.

‘ㄱ·ㄷ·ㅅ’을 ‘기역·디귿·시옷’으로 적은 이유는? 한자 가운데 ‘윽, 읃, 읏’으로 발음되는 것이 없었기 때문이다. ‘윽’은 발음이 비슷한 ‘역’(役)으로 적고, ‘ㄷ’은 ‘池末’으로, ‘ㅅ’은 ‘時衣’으로 적은 뒤 ‘末, 衣’에는 표시를 해 두었다. 그 표시는 훈독, 곧 한자의 뜻으로 읽으라는 것이다. ‘귿 말’(끝 말)자를 ‘귿’으로 읽고, ‘옷 의’자를 ‘옷’으로 읽으면, ‘디귿, 시옷’이 된다. ‘池’는 16세기에 ‘디’로 발음되었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331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983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4988
308 경텃절몽구리아들 / 모이 風文 2020.05.24 1237
307 한자를 몰라도 風文 2022.01.09 1235
306 표준말의 기강, 의미와 신뢰 風文 2022.06.30 1235
305 대화의 어려움, 칭찬하기 風文 2022.06.02 1233
304 깻잎 / 기림비 1 風文 2020.06.01 1232
303 주권자의 외침 風文 2022.01.13 1232
302 일타강사, ‘일’의 의미 風文 2022.09.04 1229
301 교정, 교열 / 전공의 風文 2020.05.27 1227
300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1.07 1225
299 ‘~면서’, 정치와 은유(1): 전쟁 風文 2022.10.12 1225
298 꼬까울새 / 해독, 치유 風文 2020.05.25 1222
297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중소기업 콤플렉스 風文 2022.01.13 1221
296 지식생산, 동의함 風文 2022.07.10 1220
295 헛스윙, 헛웃음, 헛기침의 쓸모 風文 2023.01.09 1215
294 보편적 호칭, 번역 정본 風文 2022.05.26 1214
293 성적이 수치스럽다고? 風文 2023.11.10 1214
292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213
291 오염된 소통 風文 2022.01.12 1200
290 공적인 말하기 風文 2021.12.01 1199
289 ‘시끄러워!’, 직연 風文 2022.10.25 1199
288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196
287 콩글리시 風文 2022.05.18 119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