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0 03:38

기윽 디읃 시읏

조회 수 10840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기윽 디읃 시읏

남녘의 현행 한글맞춤법에서 ‘ㄱ·ㄷ·ㅅ’의 이름은 ‘기역·디귿·시옷’이다. 북녘의 조선어철자법에서는 ‘기윽, 디읃, 시읏’이다. 다른 자음의 이름은 모두 같다. 자음 이름에는 규칙이 있다. 자음에 모음 ‘이’를 결합한 첫 음절과, 모음 ‘으’에 해당 자음을 결합한 둘째 음절을 이름으로 한다. ‘치읓·키읔·티읕·피읖·히읗’ 등이 그것이다.

이런 차이는 왜 생겼을까? 한글 자음과 모음의 이름은 최세진이 1527년에 지은 ‘훈몽자회’에서 비롯되었는데, 관습적으로 쓰이는 이름을 인정한 남녘 규범과 통상적인 이름을 규칙에 맞도록 바로잡은 북녘 규범의 차이 때문이다.

훈몽자회는 어린이용 한자 학습서인데 한자 공부를 위해 한글(훈민정음)로 음을 달았다. 이 책에 한글의 쓰임과 음을 익힐 수 있도록 한글 자음과 모음을 한자로 소개했는데, 그것이 한글 자모 이름으로 굳어진 것이다. ‘ㄱ’을 ‘其役’(기역)으로 적어서 ‘기’의 첫소리와 같고, ‘역’의 끝소리와 같다고 설명한 것이다. ‘ㄴ’은 ‘尼隱’(니은)으로 적었다.

‘ㄱ·ㄷ·ㅅ’을 ‘기역·디귿·시옷’으로 적은 이유는? 한자 가운데 ‘윽, 읃, 읏’으로 발음되는 것이 없었기 때문이다. ‘윽’은 발음이 비슷한 ‘역’(役)으로 적고, ‘ㄷ’은 ‘池末’으로, ‘ㅅ’은 ‘時衣’으로 적은 뒤 ‘末, 衣’에는 표시를 해 두었다. 그 표시는 훈독, 곧 한자의 뜻으로 읽으라는 것이다. ‘귿 말’(끝 말)자를 ‘귿’으로 읽고, ‘옷 의’자를 ‘옷’으로 읽으면, ‘디귿, 시옷’이 된다. ‘池’는 16세기에 ‘디’로 발음되었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3782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432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199251
3146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IMF, 막고 품어라, 내 인감 좀 빌려주게 風文 2022.02.01 985
3145 순직 風文 2022.02.01 784
3144 삼디가 어때서 風文 2022.02.01 935
3143 말의 평가절하 관리자 2022.01.31 827
3142 어떤 문답 관리자 2022.01.31 996
3141 사저와 자택 風文 2022.01.30 827
3140 아줌마들 風文 2022.01.30 836
3139 태극 전사들 風文 2022.01.29 824
3138 정치의 유목화 風文 2022.01.29 1084
3137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921
3136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904
3135 말과 공감 능력 風文 2022.01.26 794
3134 정당의 이름 風文 2022.01.26 894
3133 법과 도덕 風文 2022.01.25 850
3132 연말용 상투어 風文 2022.01.25 823
3131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956
3130 야민정음 風文 2022.01.21 876
3129 쇠를 녹이다 風文 2022.01.15 1358
3128 지도자의 화법 風文 2022.01.15 1188
3127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중소기업 콤플렉스 風文 2022.01.13 1042
3126 주권자의 외침 風文 2022.01.13 1041
3125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9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