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6 11:03

안겨오다

조회 수 7323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안겨오다

‘안겨오다’는 ‘안기다’와 ‘오다’가 합친 말이어서 남녘에서는 두 낱말로 보아 ‘안겨 오다’로 띄어 쓴다. 북녘에서는 ‘안겨오다’를 하나의 낱말로 보아서 사전에 싣고 있는데, ‘안기다’와 ‘오다’에서 온 뜻에서 파생된 다른 뜻으로도 쓰인다.

“그때의 오수동의 모습이 이 총각에게서 그대로 안겨오는것이다.”(갑오농민전쟁 1)
“보고를 들으니 전면모가 뚜렷이 안겨오다.”(우리말글쓰기 연관어대사전)

‘오수동의 모습이 안겨온다’는 것은 오수동으로 착각할 만큼 총각의 모습이 오수동과 비슷하다는 것이다. ‘안겨온다’는 표현은 ‘이 총각을 보고 오수동의 모습을 떠올렸다’거나 ‘이 총각이 오수동과 매우 비슷하게 생겼다’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오수동을 떠올린 느낌’이 강하면서도 감각적으로 이해되기 때문이다. ‘안겨온다’는 것은 총각의 모습에서 오수동의 모습이 떠오른 뒤, 그 모습이 마치 자신에게 안기어 오는 것처럼, 인상적이면서도 뚜렷하게 연상되었다고 생각된다.

‘전면모’(全面貌)는 ‘전체의 모습이나 상태’를 말한다. ‘전면모가 안겨온다’는 것은 ‘잘 이해된다’는 뜻이다. “울창한 숲이 그림처럼 안겨온다”와 같이 어떤 풍경이 안겨온다면, ‘한눈에 환히 보이는 것’이다. “진한 감동이 마음에 안겨온다”와 같이 심적인 느낌이 안겨온다면, ‘마음속 깊이 느껴지는 것’이다. “찬바람이 안겨온다”와 같이 ‘바람이나 비, 냄새’ 등이 안겨온다면 ‘흠뻑 느껴지는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겠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95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42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338
311 갈대와 억새 바람의종 2010.07.30 9435
310 갈대 바람의종 2008.05.12 6640
309 갈께/갈까 바람의종 2008.09.20 6915
308 갈기갈기, 갈래갈래,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9.10.28 10723
307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8.10.30 7474
306 갈가지 바람의종 2009.07.30 7961
305 간판 문맹 風文 2014.12.30 24484
304 간지르다, 간질이다 바람의종 2009.08.03 8659
303 간지럽히다 바람의종 2009.02.12 9470
302 간지는 음력 바람의종 2010.01.20 13442
301 간지 바람의종 2009.03.03 8354
300 간지 바람의종 2010.08.03 9652
299 간절기 바람의종 2012.05.11 12219
298 간이 부었다 바람의종 2007.12.26 11849
297 간디·무작쇠 바람의종 2008.06.18 6521
296 간(間)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2.27 11594
295 각축 바람의종 2007.05.28 6144
294 각시취 바람의종 2008.04.29 7304
293 각둑이, 깍둑이, 깍두기, 깍뚜기 바람의종 2009.11.09 14495
292 각광 바람의종 2007.05.28 5730
291 각각 / 씩 바람의종 2010.02.28 81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