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5 10:37

한내와 가린내

조회 수 9397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내와 가린내

<열녀춘향수절가>에는 암행어사 이몽룡이 전라도 초읍인 여산에서 일행을 세 갈래로 나누어 떠나보내는 장면이 나온다. 한 갈래는 진산·금산·무주·용담·진안·장수·운봉·구례로 돌아드는 서리패들의 전라 좌도고, 또 한 갈래는 용안·함열·임피·옥구·김제·만경·고부·부안·흥덕·고창·장성 등을 거치는 중방 역졸패의 우도다. 그리고 한 패는 종사들로 익산·금구·태인·정읍·순창·옥과·광주·나주·창평 등지를 거치도록 하였다. 자신은 헌 파립과 망건을 의뭉하게 차리고 삼례를 거쳐 완산 팔경을 구경하며 남원으로 내려간다.

그런데 암행어사가 거쳐 간 땅이름 가운데 “한내 쥬엽졩이, 가린내 싱금졍, 숩졍이, 공북누”가 있다. 얼핏 보기에는 쥬엽졩이, 싱금졍, 숩졍이도 땅이름처럼 보이나 이들은 ‘공북누’와 함께 정자이거나 누각임이 틀림없다. 흥미로운 것은 여기 나오는 ‘한내’와 ‘가린내’다. ‘한내’는 ‘크다’의 뜻을 지닌 ‘한’에 ‘내’가 붙은 말로 ‘대천’에 해당한다. 지금의 대천은 충남 보령이므로 춘향가에 나오는 대천과는 관련이 없다. 달리 말해 ‘큰 내’를 뜻하는 ‘한내’도 보편적으로 널리 쓰인 땅이름이다.

‘가린내’는 ‘한내’와는 대립적인 뜻을 갖는 말이다. 이 말은 ‘가늘다’의 다른 형태인 ‘가ㄹ.다’(‘가루’의 어원)에 ‘내’가 붙은 말이다. 곧 ‘가는내’ 또는 ‘가ㄹ.ㄴ내’에 해당하는 셈이다. 이런 뜻의 ‘가린내’는 제주도 한림읍 금악리에도 있다. 비슷한 형태로 좁고 가는 골짜기를 뜻하는 ‘가는골’도 산골 마을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72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23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170
311 갈대와 억새 바람의종 2010.07.30 9435
310 갈대 바람의종 2008.05.12 6637
309 갈께/갈까 바람의종 2008.09.20 6913
308 갈기갈기, 갈래갈래,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9.10.28 10723
307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8.10.30 7474
306 갈가지 바람의종 2009.07.30 7957
305 간판 문맹 風文 2014.12.30 24484
304 간지르다, 간질이다 바람의종 2009.08.03 8652
303 간지럽히다 바람의종 2009.02.12 9469
302 간지는 음력 바람의종 2010.01.20 13441
301 간지 바람의종 2009.03.03 8348
300 간지 바람의종 2010.08.03 9652
299 간절기 바람의종 2012.05.11 12215
298 간이 부었다 바람의종 2007.12.26 11849
297 간디·무작쇠 바람의종 2008.06.18 6516
296 간(間)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2.27 11592
295 각축 바람의종 2007.05.28 6144
294 각시취 바람의종 2008.04.29 7302
293 각둑이, 깍둑이, 깍두기, 깍뚜기 바람의종 2009.11.09 14494
292 각광 바람의종 2007.05.28 5728
291 각각 / 씩 바람의종 2010.02.28 81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