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3 09:09

무너미·목넘이

조회 수 6607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무너미·목넘이

황순원의 소설 <목넘이 마을의 개>는 한 마을에 흘러들어 온 신둥이(흰둥이)의 강인한 삶을 통하여 온갖 고난을 이겨내는 우리 겨레를 상징한 소설로 알려졌다. 소설 속의 ‘목 넘이 마을’은 사방 산으로 둘러싸여 어느 곳이든 ‘목’을 넘어야 갈 수 있는 마을이어서 붙은 이름이다. 이야기 배경이 평안도 어느 마을로 설정돼 있으나 구체적으로 어느 곳인지는 알 수 없다. 다만 황순원이 평안도 대동 출생이니 그곳 어디쯤에 있는 땅이름일 가능성이 높다.

‘목 넘이 마을’처럼 ‘넘다’라는 말이 들어간 땅이름도 비교적 흔히 찾을 수 있다. 중세어에서 ‘넘다’는 ‘남다’와 함께 쓰였다. 두 말이 모두 ‘넘는다, 지나치다. 남다’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말이었다. 예를 들어 “백년이 하마 반이 남으니”라는 말은 “백년이 벌써 반이나 지나가니”라는 뜻이며, <석보상절>에서는 한자어 ‘과’(過)를 ‘넘다’로 풀이한 바 있다. 이는 중세어에서 ‘넘다’와 ‘남다’가 넘나들며 쓰였음을 뜻한다. 이 말이 차츰 분화하여 ‘남다’와 ‘넘다’가 전혀 다른 뜻의 말이 되었다.

그런데 땅이름에서는 ‘남다’의 의미를 갖는 것은 찾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넘다’의 경우는 ‘너미’라는 형태로 자주 쓰인다. 예를 들어 ‘무너미’는 ‘둑이나 저수지에서 물이 넘어가는 곳’ 또는 ‘물 건너 마을’을 뜻한다. ‘목 넘이’의 ‘넘이’도 마찬가지다. ‘넘다’에 이름씨를 만드는 뒷가지 ‘이’가 붙어 땅이름으로 자연스럽게 쓰인 셈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3988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644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1458
3168 가마즁이·언년이 바람의종 2008.06.19 6937
3167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000
3166 가마우지 바람의종 2009.06.29 6258
3165 가시 돋힌 설전 바람의종 2010.04.01 13277
3164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278
3163 가시버시 바람의종 2010.04.26 9910
3162 가시집 바람의종 2008.03.15 7323
3161 가야와 가라홀 바람의종 2008.04.01 6907
3160 가열차다, 야멸차다 바람의종 2009.03.18 11206
3159 가엾은/가여운, 서럽다/서러운, 여쭙다/여쭈다 바람의종 2009.06.29 11580
3158 가오 잡다, 후카시 잡다 바람의종 2009.11.24 17027
3157 가와 끝 바람의종 2008.01.13 6599
3156 가외·유월이 바람의종 2008.09.06 7648
3155 가을하다 바람의종 2007.12.28 6912
3154 가이없는 은혜 바람의종 2012.08.17 8998
3153 가입시더 바람의종 2009.04.09 6531
3152 가젠하민 바람의종 2009.05.24 6820
3151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971
3150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725
3149 가차없다 바람의종 2007.04.28 10424
3148 가책 바람의종 2007.05.25 11375
3147 가파르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2.07 845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