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8 05:59

짝벗 사이

조회 수 7343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짝벗 사이

“남편과 아내 사이는 서로 짝벗이 되어서 공경말·삼가말을 쓰지 않는다. 소곤소곤 반쯤말로 하므로 서로 부름말이 없다.”(려증동·가정언어)

“여보·여봐요·○○씨(신혼), 여보·○○ 아버지/○○ 어머니, ○○ 아빠/○○ 엄마(자녀 둔 뒤), 여보·영감/임자·○○ 할아버지/○○ 할머니, ○○ 아버지/○○ 어머니(장노년)”(국어연구원 화법표준화자문위·1992)

예부터 짝벗(배필) 사이에 그럴듯한 부름말이 없기는 하지만, 불러야 할 때가 많고 실제 쓰는 말도 숱한데, ‘여보’도 그 중 하나다.

“거기요·보소·보이소·봅시다·아요·아여·어요·어이·여기요·여보·여봐요·이보오·저기요·저보 ….” 대체로 이름을 모르는 불특정인을 가까이서 부를 때도 쓰는 말들이다.

화법표준화자문위에서는 부름말로 ‘여보’를 대표로 골랐고, 지칭어로 ‘당신·○○씨’(신혼) ‘영감/임자’(장노년)를 표준으로 삼았다.

려증동님은 ‘여보·당신’은 싸움판에서 쓰는 말이어서 적절하지 않다며, 부르고 일컫는 말로 ‘어요·이녘’(아내에게), ‘아요·자기’(남편에게)를 내세운다.

“거기·당신·이녘·임자·자기/재개·자네·영감·마누라·지·니 …”

부름말이 마땅찮으면 이런 말에 ‘아·야·요’ 같은 호격조사를 붙여 불러도 된다. 짝벗은 무람한 사이여서 그렇다.

적절하고 많이 쓰는 말을 표준으로 삼아 그 쓰기를 권할 수는 있을 터이다. 그러나 본디부터 명토박아 쓰지 않는 까닭에 다양해진 말을 ‘이거야!’라고 한둘만 내세우는 것은, 말을 가난하게 하는 폐단이 따른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144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781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2941
286 조장 바람의종 2007.08.18 7054
285 제6공화국 바람의종 2007.08.18 9664
284 점심 바람의종 2007.08.17 9195
283 점고 바람의종 2007.08.17 7240
282 전하 바람의종 2007.08.16 6870
281 적자 바람의종 2007.08.16 13149
280 재야 바람의종 2007.08.15 7652
279 장안 바람의종 2007.08.15 9164
278 장본인 바람의종 2007.08.14 8452
277 자정 바람의종 2007.08.14 7630
276 자문 바람의종 2007.08.13 7259
275 은행 바람의종 2007.08.13 6754
274 용수철 바람의종 2007.08.11 6964
273 요지경 바람의종 2007.08.11 10845
272 와중 바람의종 2007.08.10 6848
271 오장육부 바람의종 2007.08.10 9626
270 영부인 바람의종 2007.08.09 7783
269 영남, 영동, 영서 바람의종 2007.08.09 11253
268 영계 바람의종 2007.08.07 9514
267 영감 바람의종 2007.08.07 7689
266 연미복 바람의종 2007.08.03 7940
265 연륜 바람의종 2007.08.03 845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