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5 00:50

구미와 곶

조회 수 7350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구미와 곶

<표준국어대사전>에, ‘곶’은 ‘바다로 뻗어나온 모양을 한 곳’이라고 풀이돼 있다. 그렇다면 ‘곶’은 해안에만 있는 땅이름처럼 보이는데,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갈곶·갈고지·돌곶·돌고지’ 등은 바닷가가 아닌 곳에서도 흔히 보이는데, 두루 ‘곶’이 들어 있다.

우리말에서 ‘곶’은 ‘구무[굼]’와 마찬가지로 ‘움푹 파인 곳’을 뜻하는 말로 쓰였다. 이는 바닷가뿐만 아니라 내륙에서 움푹 파여 배를 대기 편한 곳에 ‘곶’을 붙인 데서도 알 수 있다. ‘곶’은 ‘고시’(古尸), ‘고자’(古自), ‘고차’(古次), ‘홀차’(忽次) 등으로 쓰였다. 백제 때 전남 장성군은 ‘고시리’(古尸伊)였으며, 신라 때 경남 고성군은 ‘고자미동국’(古資彌東國), 경기 안산은 ‘고사야홀차’(古斯也忽次)였다. ‘홀차’가 ‘구’(口)로 바뀌기도 하는데, ‘고사야홀차’는 ‘장항구’(獐項口)로, ‘요은홀차’(要隱忽次)는 ‘양구’(楊口)로 바뀌었다.

‘곶’은 다른 꼴로 나타나기도 한다. ‘고지’와 ‘구지’는 ‘곶’에 ‘이’가 붙어 된 말이며, 첫소리를 된소리로 내면 ‘꾸지’가 된다. 여수 지역의 ‘송고지·숫구지·일중구지·문꾸지’ 등은 ‘곶’의 이형태가 붙은 땅이름이다. 여기선 ‘곶’ 대신 ‘구미’가 붙은 곳도 제법 발견된다. ‘망구미·온구미’의 ‘구미’도 ‘곶’의 이형태들이다. <난중일기>에 보이는 ‘군영구미·이진구미’ 등도 마찬가지다. 이 말은 ‘굽다’의 이름꼴인 ‘구비’가 ‘구지’에 이어져 생긴 꼴이다. 이 또한 ‘곶’이 ‘구무’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을 높여준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74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24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173
268 자주꽃방망이 바람의종 2008.03.29 8063
267 바쁘다 바람의종 2008.03.28 5802
266 짝벗 사이 바람의종 2008.03.28 7558
265 소태와 소도 바람의종 2008.03.27 7950
264 범꼬리 바람의종 2008.03.27 6615
263 꽝포쟁이 바람의종 2008.03.25 7983
262 아줌마·아지매 바람의종 2008.03.25 12202
» 구미와 곶 바람의종 2008.03.25 7350
260 쐐기풀 바람의종 2008.03.24 6643
259 수표 바람의종 2008.03.24 7527
258 임·님 바람의종 2008.03.24 10791
257 오랫도리 바람의종 2008.03.22 8134
256 엉겅퀴 바람의종 2008.03.22 5667
255 단고기 바람의종 2008.03.20 7598
254 어버이 바람의종 2008.03.20 7856
253 진고개와 긴고개 바람의종 2008.03.20 7644
252 족두리꽃 바람의종 2008.03.19 7460
251 입뇌리·물퉁게 바람의종 2008.03.18 10385
250 바람의종 2008.03.18 6762
249 빌레와 바위 바람의종 2008.03.18 7074
248 별꽃 바람의종 2008.03.16 6308
247 따발/따발총 바람의종 2008.03.16 773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