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2 16:06

오랫도리

조회 수 7925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오랫도리

옛날 서적을 읽다 보면 오늘날 쓰지 않는 말들이 나타날 때가 적잖다.〈열녀춘향수절가〉에서 이도령이 천자문을 읽자, 방자가 한 마디 던진다. “여보 도련님, 점잖은 사람이 천자는 또 웬일이오?”, “소인놈도 천자 속은 아옵네다.” 그러고는 “높고 높은 하늘 천, 깊고 깊은 따 지, 홰홰 칭칭 가물 현, 불타것다 누루 황”이라고 읽는 모습은 가히 웃음을 유발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실은 한문 공부의 첫걸음이라고 할 ‘천자문’ 풀이조차도 이해하기가 쉽지는 않다. 그 가운데 하나가 ‘오라 문’이다.

홍양호의 〈북색기략〉에는 함북 방언에 문(門)을 뜻하는 ‘오라’가 있고, 덕(德)을 뜻하는 ‘고부’(高阜)가 있다고 한다. 함북 방언은 조선 초기 육진을 개척할 때 경상도 사람을 이주시켰으므로 신라 고어라고 할 수 있다. 황윤석은 영남 인본 천자문을 바탕으로 ‘오라’가 영남 고어라고 하였고, 객사에서 아이들이 대문을 가리킬 때 쓰는 말이라고도 풀이하였다. 이처럼 ‘문’을 ‘오라’로 풀이한 예는 더 발견되는데,〈석봉 천자문〉의 ‘오라 문’이나,〈소학언해〉의 ‘문 오래며 과실 남글’[門巷果木]이 이에 해당한다.

그런데 고 김윤학 교수 연구에서, 강화 화도면에 ‘오랫도리’라는 밭이름이 있었다고 한다. 마을 사람들은 한 동네 들머리에 놓인 이 밭을 ‘출입문에 해당하는 밭’이라고 생각하며 ‘오랫도리’라 불렀다는 것이다. ‘도리’는 ‘둘레’란 뜻이므로, ‘동리로 드는 문의 주위에 놓인 밭’이다. 땅이름에 우리말이 화석처럼 깃든 경우라고 할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100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740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2525
3190 산전수전 바람의종 2007.07.19 8299
3189 삼우제 바람의종 2007.07.20 10643
3188 상극 바람의종 2007.07.20 6109
3187 선달 바람의종 2007.07.23 8503
3186 섭씨 바람의종 2007.07.23 7590
3185 성곽 바람의종 2007.07.24 6268
3184 소정 바람의종 2007.07.24 6236
3183 고장말은 일상어다 / 이태영 바람의종 2007.07.24 22062
3182 수청 바람의종 2007.07.27 8367
3181 숙맥 바람의종 2007.07.27 6490
3180 숙제 바람의종 2007.07.28 4942
3179 슬하 바람의종 2007.07.28 6944
3178 쌍벽 바람의종 2007.07.29 6193
3177 아녀자 바람의종 2007.07.29 9633
3176 아성 바람의종 2007.07.30 8471
3175 안양 바람의종 2007.07.30 7352
3174 알력 바람의종 2007.07.31 7050
3173 애로 바람의종 2007.07.31 6624
3172 야합 바람의종 2007.08.01 7435
3171 양반 바람의종 2007.08.01 7348
3170 양재기 바람의종 2007.08.02 11164
3169 어물전 바람의종 2007.08.02 72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