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8 01:45

빌레와 바위

조회 수 6881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빌레와 바위

제주의 땅이름 형태는 뭍과 다른 점이 많다. ‘빌레’는 제주말로 ‘너럭바위’를 뜻한다. 남제주 대정 지역의 ‘넙은빌레·빌레못·답단빌레’ 등은 너럭바위에서 나온 이름이다. 이 ‘빌레’의 표준형은 ‘별내’다. 별내는 비탈을 뜻하는 ‘별’에 ‘장소’ 또는 ‘물’을 뜻하는 ‘내’가 합쳐 된 말이다. 제주에서만 ‘빌레’가 나타나 낯선 땅이름처럼 보인다.

땅이름 변화에는 지역에 따른 말소리 차이가 큰 영향을 끼친다. 고개를 뜻하는 ‘모르’나 ‘머르’, 바다 쪽으로 길게 뻗어 나온 뭍을 뜻하는 ‘고지·코지’와 같은 말들도 받침이 없는 형태인데, 이는 제주말의 소리마디에 받침을 잘 안 쓰거나 유성음을 많이 쓰는 경향과도 관련이 있는 듯하다. 그렇기에 제주 방언에는 ‘르·앙·엉’으로 끝나는 명사가 많다. 또 뭍과 교류가 활발하지 못했던 탓에 이 지역 말에는 옛말이 많이 남아 있는 것도 특징이다.

비탈의 ‘별’과 낭떠러지의 ‘낭’이 합쳐져 ‘벼랑’을 이루듯, 비탈진 곳의 바위만을 별도로 ‘빌레’라고 부른 것은 땅이름의 지리적인 특성을 반영하는 셈이다. 제주에서 빌레와 바위는 유의어로 쓰이는데, 바위는 간혹 ‘방구·방귀’로 불리기도 한다. 바위가 많은 마을인 남원읍 신흥리는 ‘방구령’이라고 불렸다. 이 말은 생리현상인 방귀를 연상하게 하므로, 한자 표기에 거북 구를 쓰다가, 아예 신흥리라는 전혀 다른 이름으로 바꿨다. 마을 서남쪽에 앞빌레가 서 있는데도 생소한 땅이름이 만들어지는 원리를 보여준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036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688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1924
3190 언어적 적폐 風文 2022.02.08 1047
3189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048
3188 돼지의 울음소리, 말 같지 않은 소리 風文 2022.07.20 1051
3187 주현씨가 말했다 風文 2023.11.21 1053
3186 ‘머스트 해브’와 ‘워너비’ 風文 2024.03.27 1053
3185 삼디가 어때서 風文 2022.02.01 1055
3184 되묻기도 답변? 風文 2022.02.11 1057
3183 이름 짓기, ‘쌔우다’ 風文 2022.10.24 1057
3182 무술과 글쓰기, 아버지의 글쓰기 風文 2022.09.29 1058
3181 도긴개긴 風文 2023.05.27 1060
3180 '넓다'와 '밟다' 風文 2023.12.06 1060
3179 ‘나이’라는 숫자, 친정 언어 風文 2022.07.07 1062
3178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062
3177 형용모순, 언어의 퇴보 風文 2022.07.14 1064
3176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064
3175 드라이브 스루 風文 2023.12.05 1066
3174 이단, 공교롭다 風文 2022.08.07 1069
3173 뉴 노멀, 막말을 위한 변명 風文 2022.08.14 1070
3172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071
3171 ‘부끄부끄’ ‘쓰담쓰담’ 風文 2023.06.02 1072
3170 만인의 ‘씨’(2) / 하퀴벌레, 하퀴벌레…바퀴벌레만도 못한 혐오를 곱씹으며 風文 2022.11.18 1073
3169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07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