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3 12:30

수진이 고개

조회 수 9716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수진이 고개

성남시 수진동은 ‘궁말’, 또는 ‘궁촌’이라고도 했다.〈한국지명총람〉(한글학회)에는 세종의 일곱째 아들인 평원대군의 묘를 관리하는 수진궁이 있었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라고 풀이한 바 있다. 그런데 수진동은 ‘수진’이라는 몽골어에서 온 말이다. 민요 ‘남원산성’의 “남원산성 올라가 이화 문전 바라보니, 수진이 날진이 해동청 보라매 떴다 봐라 저 종달새”라는 구절에서 알 수 있듯이, ‘수진’, ‘날진’(나진, 난친), ‘보라매’는 모두 매의 이름들이다. 사역원에서 간행한〈몽어유해〉에는 ‘해동청’(海東靑)을 ‘숑홀’이라고 기록한 바 있는데, 해동청은 오늘날의 ‘송골매’다.

이처럼 땅이름에 매의 이름이 많이 남아 있는 것은 고려시대에 원나라와의 교류 과정에서 원의 매사냥 문화가 들어왔기 때문이다. 그 가운데 어떤 말들은 완전히 우리말처럼 쓰여 몽골어에서 온 것인지조차 알기 어려운 것들도 있다. 예를 들어 ‘시치미’는 매의 주인을 밝히고자 이름과 주소를 적어 매 꽁지에 붙인 네모진 뿔을 일컫는 말이었다. 달아난 매를 주인에게 돌려주지 않기로 작정하고 시치미를 떼는 행위에서 ‘시치미 떼다’라는 관용어가 나오기도 하였다.

이청준의 ‘매잡이’에서 사라져 가는 매잡이의 전통을 지키려는 곽돌 영감의 몸부림이 묘사되어 있듯이 오늘날은 매도 멸종 위기에 놓였다고 하니, 그나마 땅이름 속에서 매가 오래도록 살아남을 것으로 보인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317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969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4821
264 가르치다, 가리키다 바람의종 2008.10.01 6709
263 가랭이 / 가랑이 바람의종 2010.08.05 16516
262 가라, 와라 바람의종 2011.11.20 9508
261 가듯, 갈 듯 바람의종 2009.08.01 10408
260 가드랬수 바람의종 2009.07.07 6280
259 가던 길 그냥 가든가 風文 2024.02.21 1067
258 가댔수? 바람의종 2009.06.29 6752
257 가닥덕대 바람의종 2008.02.03 7337
256 가능한, 가능한 한 바람의종 2008.11.15 7574
255 가능한 / 가능한 한 바람의종 2012.07.16 10311
254 가능하느냐 / 가능하냐 바람의종 2012.06.01 9793
253 가능성이 높다 바람의종 2010.03.04 11629
252 가능·가성능/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450
251 가늠하다, 가름하다, 갈음하다 바람의종 2011.12.30 20202
250 가늠,가름,갈음 바람의종 2010.03.23 13391
249 가난을 되물림, 대물림, 물림 바람의종 2010.03.30 13181
248 가까와? 가까워? 바람의종 2008.07.01 7333
247 가관이다 바람의종 2007.04.28 12683
246 가겠소 / 가겠오 바람의종 2009.02.07 7600
245 가검물(可檢物) 바람의종 2010.05.12 9766
244 가개·까까이 바람의종 2009.07.22 8210
243 가(價) 바람의종 2011.11.16 914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