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04 03:34

한라산과 두무산

조회 수 9552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라산과 두무산 / 허재영

<세종실록지리지>나 <동국여지승람>에는 ‘한라산’의 다른 이름이 ‘두무산’이었다는 기록이 나온다. 이정구의 <사천년문헌통고>에서도 “한라산은 가히 은하수를 더위잡을 수 있으므로 그 이름이 붙었으며, 봉우리가 모두 평평하고 둥근데 연못이 있어 마치 가마솥과 같은 까닭에 부산(釜山)이라 한다”고 했다. 가마를 뜻하는 ‘부’(釜)는 ‘두무’라기도 하는데, 이로 말미암아 한라산은 ‘부산’ 또는 ‘두무산’이라 부르기도 했다. 이처럼 ‘두무’가 든 땅이름은 매우 많다. ‘두무실’, ‘두뭇골’과 같은 마을 이름이 있고, ‘두무개’처럼 고개를 뜻하는 경우도 있다.

‘두무’의 말밑은 ‘둥근’이란 뜻의 ‘둠’이다. ‘돔’ 또는 ‘도마’로도 쓰이는데, ‘돔골’, ‘도마치’에 나타나는 ‘돔’과 ‘도마’가 이에 해당한다. 한라산의 모습이 평평하고 둥글기에 두무산이라고 했듯, 두무실이나 두뭇골은 모두 마을이 평평하고 둥그렇다. 이처럼 둥글고 평평한 뜻을 갖는 다른 이름으로 ‘두류’ 또는 ‘두륜’이 있다. 지리산의 다른 이름인 ‘두류산’이나 해남의 ‘두륜산’은 모두 둥근 모습의 산인 셈이다.

땅이름에 스며든 ‘두류’와 ‘두륜’은 ‘둥근’의 뜻을 갖는 ‘두렷다’에서 온 말이며, ‘두무’는 ‘두르다’의 이름꼴이라 볼 수 있다. 그런데 ‘두무’가 ‘도마’로 쓰이거나 ‘두메’로 쓰이게 되면 그 뜻이 어원과 멀어진 것처럼 생각된다. 그러나 ‘두메산골’도 산간 분지의 마을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두무’가 녹아든 말임을 알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88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40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374
3282 용찬 샘, 용찬 씨 風文 2023.04.26 1256
3281 아줌마들 風文 2022.01.30 1257
3280 '-시키다’ 風文 2023.12.22 1258
3279 분단 중독증, 잡것의 가치 風文 2022.06.09 1263
3278 비계획적 방출, 주접 댓글 風文 2022.09.08 1264
3277 개념의 차이, 문화어 風文 2022.06.13 1265
3276 '김'의 예언 風文 2023.04.13 1265
3275 정당의 이름 風文 2022.01.26 1267
3274 과잉 수정 風文 2022.05.23 1267
3273 국가 사전을 다시?(2,3) 주인장 2022.10.21 1267
3272 금새 / 금세 風文 2023.10.08 1269
3271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270
3270 남과 북의 언어, 뉘앙스 차이 風文 2022.06.10 1270
3269 3인칭은 없다, 문자와 일본정신 風文 2022.07.21 1270
3268 꼬까울새 / 해독, 치유 風文 2020.05.25 1272
3267 정보와 담론, 덕담 風文 2022.06.15 1273
3266 교열의 힘, 말과 시대상 風文 2022.07.11 1274
3265 일본이 한글 통일?, 타인을 중심에 風文 2022.07.22 1277
3264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279
3263 순직 風文 2022.02.01 1279
3262 아니오 / 아니요 風文 2023.10.08 1279
3261 야민정음 風文 2022.01.21 128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