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9 17:47

한글과 우리말

조회 수 7493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글과 우리말

철든 사람이면 ‘한글’과 ‘우리말’의 뜻을 가리지 못할 리는 없다. 한글과 우리말은 그만큼 뜻이 아주 다른 말이다. 그러나 요즘 알 만한 이들이 이들 낱말을 자주 뒤섞어 쓴다. 무엇보다 한글과 우리말을 사랑하고 자랑스럽게 여기면서 빛나게 갈고닦아야 한다고 소매를 걷고 나선 이들 가운데서 그런 사람을 자주 만나니 안타깝다.

한글은 우리 글자 이름이다. 본디 ‘백성 가르치는 바른 소리’(훈민정음)라 불렀으나 줄여서 ‘바른 소리’(정음)라 했는데, 중국 글자를 우러르는 선비들이 사백 년 동안 ‘상스러운 글자’(언자·언문)라 부르며 업신여겼다. 대한제국에 와서 ‘나라 글자’(국자·국문)라 했는데, 주시경 선생이 ‘한글’이라 부르자 제자들이 1927년에 <한글>이라는 잡지를 펴낸 뒤부터 널리 퍼졌다. 남북이 갈라지자 북에서는 한글이 ‘한국글자’로 들린다면서 굳이 ‘조선글자’라 한다.

‘우리말’은 우리 겨레에게서 나고 자란 토박이말이다. 우리 겨레의 마음에서 씨앗이 생겨 겨레의 삶에서 움이 트고 싹이 나고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었기에 그대로 우리 얼의 집이다. 그러나 토박이말로만 살아갈 수는 없어 오가며 삶을 주고받는 이웃 겨레의 말도 들여오게 마련이고, 이렇게 들온 남의 말도 제대로 길이 들면 ‘들온말’(외래어)로서 우리말이 된다. 이런 우리말의 이름을 남에서는 ‘한국어’라 하고 북에서는 ‘조선말’이라 하지만 예로부터 배달겨레의 말이란 뜻으로 ‘배달말’이라 했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21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90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715
224 배수진 바람의종 2007.07.08 7203
223 방편 바람의종 2007.07.07 6778
222 박사 바람의종 2007.07.07 7925
221 밀월 바람의종 2007.07.06 8997
220 미인계 바람의종 2007.07.06 7225
219 미망인 바람의종 2007.07.05 6164
218 문외한 바람의종 2007.07.05 8797
217 무진장 바람의종 2007.07.04 7416
216 무녀리 바람의종 2007.07.04 9179
215 목적 바람의종 2007.07.03 6982
214 모순 바람의종 2007.07.03 5828
213 모리배 바람의종 2007.07.02 16651
212 명일 바람의종 2007.07.02 11278
211 면목 바람의종 2007.07.01 8164
210 말세 바람의종 2007.07.01 8730
209 막론 바람의종 2007.06.30 6381
208 등용문 바람의종 2007.06.30 6958
207 동냥 바람의종 2007.06.28 9790
206 동기간 바람의종 2007.06.28 7770
205 도탄 바람의종 2007.06.27 5588
204 도량 바람의종 2007.06.27 6981
203 도구 바람의종 2007.06.26 585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