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5 16:18

씀바귀

조회 수 7884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씀바귀

봄나물이 한창이다. 씀바귀는 ‘달래, 냉이, 씀바귀, 나물 캐 오자 ~’라는 노랫말에서도 보듯 봄에 나는 대표적인 나물이다. 농가월령가 2월령에도 “들나물 캐어 먹세. 고들빼기 씀바귀며, 소루쟁이 물쑥이라. 달래김치 냉잇국은 입맛을 돋우나니 …” 하는 구절이 나온다.

씀바귀는 잎새와 뿌리에서 나오는 하얀 즙이 쓰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다른 이름으로 ‘씸배나물/ 씬나물’, 한자말로 ‘고채’(苦菜)도 마찬가지 뜻이다. 들과 산에 흔한 씀바귀는 ‘흰씀바귀/ 꽃씀바귀/ 산씀바귀/ 모래씀바귀/ 벋음씀바귀 …’들처럼 종류도 많다. 씀바귀는 입맛을 돋우고, 춘곤증을 이겨낼 수 있으며, 봄에 씀바귀를 먹으면 여름을 타지 않는다고 한다.

예부터 내려오는 ‘나물노래’도 재미있다. “한푼두푼 돈나물, 쑥쑥뽑아 나싱개(냉이), 잡아뜯어 꽃따지, 영꾸부정 활나물, 매끈매끈 기름나물, 칭칭감아 감돌래, 이산저산 번개나물, 머리끝에 댕기나물, 뱅뱅도는 돌개나물, 말라죽기냐 고사리 ….” 아흔아홉 가지 나물노래를 부를 줄 알면 삼년 가뭄도 이겨낸다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나물은 우리 조상들의 소중한 먹거리였는데, 지금은 배부른 ‘웰빙’의 방편으로나 나물을 대한다.

요즘 지구가 더워진다는 온난화 걱정을 많이 한다. 소만(小滿: 음력 4월)에야 씀바귀가 뻗어 나오고, 냉이가 누렇게 죽어가며, 보리가 익는 절기라고 하였는데, 그런 걱정의 징표인지 요즘은 그보다 훨씬 일찍 씀바귀가 나오고 있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씀바귀 : 학명 - Ixeris dentata 분류 - 국화과
분포지역 - 한국·일본·중국
자생지 - 산과 들
크기 높이 - 25∼50c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05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67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618
202 대통령과 책방 風文 2023.05.12 1367
201 언어적 적폐 風文 2022.02.08 1362
200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360
199 말끝이 당신이다, 고급 말싸움법 風文 2022.07.19 1359
198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1358
197 정보와 담론, 덕담 風文 2022.06.15 1355
196 깻잎 / 기림비 1 風文 2020.06.01 1352
195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352
194 선정-지정 / 얼룩빼기 황소 風文 2020.05.15 1348
193 말의 적 / 화무십일홍 風文 2023.10.09 1347
192 몸으로 재다, 윙크와 무시 風文 2022.11.09 1346
191 김 여사 風文 2023.05.31 1345
190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344
189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1343
188 붓다 / 붇다 風文 2023.11.15 1343
187 '-시키다’ 風文 2023.12.22 1343
186 순직 風文 2022.02.01 1342
185 우리와 외국인, 글자 즐기기 風文 2022.06.17 1342
184 주현씨가 말했다 風文 2023.11.21 1342
183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341
182 이단, 공교롭다 風文 2022.08.07 1338
181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33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