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2 09:58

물어름

조회 수 8387 추천 수 3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물어름

‘물어름’은 ‘갈라져 흐르던 강과 강, 내와 내가 합쳐지는 곳’을 말한다.

“만경대초가집 앞으로는 순화강이 대동강과 합치는 물어름이 보이고 뒤로는 청청한 소나무숲이 우거졌다.” 〈조선말대사전〉

물어름은 남북이 모두 쓰는 ‘어름’과 물이 결합하여 물과 관련된 말로 뜻이 한정된 것이다. 어름은 ‘무엇이 맞닿은 자리’를 말하는데 정확한 어느 지점이라기보다는 맞닿은 자리 근처를 대강 일컫는다. 어름이 시간과 쓰이면 ‘무렵’의 뜻으로 쓰이고, 무엇이 맞닿은 곳이 아닌 장소에 쓰이면 ‘근처’의 뜻으로도 쓰인다. 남녘말 ‘장터어름’은 ‘장이 서는 넓은 터 부근’을 말한다.

“눈두덩이와 광대뼈 어름에 시커먼 멍이 들었다.” 〈표준국어대사전〉
“한길에서 공장 신축장으로 들어가는 어름에 생긴 포장마차가 둘 있었다.” 〈황순원·신들의 주사위〉
“등교 때나 퇴교 때 같으면 규율부가 나와 있어 연락이 가능했지만 목요일의 오후 세 시 어름은 그러기에도 어중간한 시간이었다.” 〈이문열·변경〉

강과 강이 합쳐지는 곳이라면 경기도 양평군에 있는 양수리(兩水里)를 떠올릴 수 있다. 이곳은 남한강과 북한강이 합쳐지는 곳이다. 그런데 ‘양수’는 물어름의 뜻으로 쓰이지 않고, ‘합수’(合水)를 쓴다. 남부 지역에 ‘합수’로 불리는 골짜기·마을·내 등이 여러 곳 있는데, 모두 물어름에 해당하는 곳이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37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89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865
3260 ‘도와센터’ ‘몰던카’ 風文 2024.01.16 1680
3259 ‘돌미’와 ‘살미’ 바람의종 2008.02.01 8143
3258 ‘때식을 번지다’와 ‘재구를 치다’ 바람의종 2010.05.07 13347
3257 ‘뛰다’와 ‘달리다’ 바람의종 2007.11.05 5650
3256 ‘렷다’ 바람의종 2010.04.27 9593
3255 ‘로서’와 ‘로써’ 바람의종 2009.12.04 9935
3254 ‘막하다’ 바람의종 2008.01.06 8207
3253 ‘말밭’을 가꾸자 바람의종 2011.11.11 8871
3252 ‘맞다’와 ‘맞는다’, 이름 바꾸기 風文 2022.09.11 1256
3251 ‘머스트 해브’와 ‘워너비’ 風文 2024.03.27 1795
3250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302
3249 ‘몇 일’이 아니고 ‘며칠’인 이유 바람의종 2009.12.01 10811
3248 ‘모라’와 마을 바람의종 2008.02.10 8007
3247 ‘물멀기’와 ‘싸다’ 바람의종 2010.05.17 12939
3246 ‘바드민톤’과 ‘아수한 이별’ 바람의종 2010.04.23 11851
3245 ‘부끄부끄’ ‘쓰담쓰담’ 風文 2023.06.02 1434
3244 ‘부럽다’의 방언형 바람의종 2007.10.11 9222
3243 ‘붇다’와 ‘붓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1.14 11847
3242 ‘빼또칼’과 ‘총대가정’ 바람의종 2010.06.08 12576
3241 ‘사흘’ 사태, 그래서 어쩌라고 風文 2022.08.21 1543
3240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231
3239 ‘수놈’과 ‘숫놈’ 風文 2024.05.08 62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