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03 03:14

물과 땅이름

조회 수 7891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물과 땅이름

물은 어느 시대 어느 곳이나 생명과 다름이 없다. 땅을 기름지게 하고, 곡식을 자라게 하며, 늘 새로운 생명을 싹틔우는 바탕이 물이다. 흔히 종교 행사로 치르는 ‘세례’ 또한 인간의 죄를 씻어주는 것을 의미하지 않겠는가. 그렇기에 <균여전>의 ‘항순중생가’에도 ‘대비 물로 적시어 이울지(시들지) 아니하겠더라’라는 시구가 나온다.

땅이름에 물과 관련된 것은 매우 많다. ‘물’의 옛말은  였다. <삼국사기> 지리지에 ‘수성군’(매홀군), ‘매소홀현’(미추홀), ‘수곡성현’(매탄홀), ‘이천현’(이진매현)에 포함된 ‘매’(買)는 모두 ‘물’을 표기한 보기들이다. 그런데 이 낱말의 음은 산을 나타내는 ‘뫼’와 유사하며, 들을 나타내는   와 같다.

여기에서 우리는 ‘물’을 뜻하는  가, 산이나 들의 ‘뫼’와   처럼 ‘미’로 변화할 가능성을 점칠 수 있다. 그런데 이 낱말은 ‘미’로 변화하지 않고, ‘믈’을 거쳐 ‘물’로 변화한다. 왜 그럴까? 이에 대한 해답은 언어 변화의 기능 부담과 관련지어 풀이할 수 있다. 달리 말해, 하나의 낱말 형태가 지나치게 많은 의미를 담당할 경우, 서로 다른 꼴로 나타내는 것이 효율적이므로, ‘산’과 ‘들’, 그리고 ‘물’을 모두 ‘미’로 일컫지는 않는다는 뜻이다.

이와는 달리 ‘나리’에서 온 ‘내’는 오랫동안 땅이름에 남는다. 예를 들어 ‘모래내’, ‘연신내’, ‘오목내’처럼, 물줄기를 뜻하는 ‘내’는 오늘날에도 자주 들을 수 있는 땅이름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3833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489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199794
3278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868
3277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869
3276 울면서 말하기 風文 2023.03.01 871
3275 우방과 동맹, 손주 風文 2022.07.05 873
3274 영어 열등감, 몸에 닿는 단위 風文 2022.04.27 876
3273 있다가, 이따가 風文 2024.01.03 877
3272 주어 없는 말 風文 2021.11.10 878
3271 더(the) 한국말 風文 2021.12.01 880
3270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880
3269 가던 길 그냥 가든가 風文 2024.02.21 880
3268 거짓말과 개소리, 혼잣말의 비밀 風文 2022.11.30 881
3267 김치 담그셨어요? 風文 2024.02.08 882
3266 갑질 風文 2024.03.27 884
3265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885
3264 왕의 화병 風文 2023.11.09 889
3263 뒤죽박죽, 말썽꾼, 턱스크 風文 2022.08.23 890
3262 말의 바깥, 말의 아나키즘 風文 2022.08.28 890
3261 ‘시월’ ‘오뉴월’ 風文 2024.01.20 892
3260 대명사의 탈출 風文 2021.09.02 893
3259 비판과 막말 風文 2021.09.15 894
3258 야민정음 風文 2022.01.21 897
3257 깨알 글씨,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6.22 8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