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01 19:46

‘돌미’와 ‘살미’

조회 수 8090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돌미’와 ‘살미’

서울 금천구 독산동이나 김포시 양촌면의 석산은 모두 ‘돌미’라 불리던 지역이었다. ‘돌미’에 들어 있는 ‘미’는 ‘산’을 뜻하는 ‘뫼’가 변한 말이다. 이처럼 산을 나타내는 말이 ‘미’로 변화한 땅이름은 매우 많다. 달이 뜨는 산을 뜻하는 ‘월출산’이나 ‘월악산’은 ‘달나미’, 또는 ‘달미’로 불린다.


그런데 ‘미’가 붙은 땅이름이라고 하여 모두 산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충북 중원(충주)의 ‘살미’는 산과는 관련이 없다. 여기에 붙은 ‘미’는 ‘들판’을 뜻하는  ‘가 변화한 말이다.  ‘ 는 〈훈몽자회〉에도 나오는데, 한자 ‘야’(野)를 ‘ 야’로 풀이하였다. 또한 〈두시언해〉에도 ‘누른 흙  두듥엔 하늘 닭이 춤추놋다’라는 구절이 나온다. ‘뫼’와   ‘는 소리가 비슷해서 모두 ‘미’로 바뀔 수 있다. 이처럼 소리는 같으나 뜻이 다른 말을 동음이의어라 부른다.

흥미로운 사실은 일상의 언어생활에서는 동음이의어가 생겨날 경우, 뜻을 변별하기 위해 어느 한 낱말은 다른 말로 대체되어 쓰이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예컨대 ‘계절’을 뜻하는 ‘녀름’이 머릿소리규칙에 따라 ‘여름’으로 변화하면, 본디 있던 ‘여름’은 ‘열매’로 바뀐다. 그런데 땅이름에 나타나는 동음이의어는 이처럼 자유로운 변화를 보이지 못한다. 충북 제천에서는 ‘살미’를 ‘미산’이라 부르는데, 이 땅이름은 ‘쌀이 산처럼 쌓였다’는 전설보다는 ‘미’의 동음이의어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37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88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859
3282 한번, 한 번 / 파란색, 파란 색 바람의종 2010.11.21 12472
3281 한번, 한 번 바람의종 2009.03.26 7670
3280 한뫼-노고산 바람의종 2008.01.30 10354
3279 한목소리, 한 목소리, 한걸음, 한 걸음 바람의종 2010.06.01 13239
3278 한머사니 먹었수다! 바람의종 2009.09.18 7376
3277 한마음 / 한 마음 바람의종 2011.11.27 13075
3276 한량 바람의종 2007.09.12 8451
3275 한라산과 두무산 바람의종 2008.03.04 9502
3274 한눈팔다 바람의종 2007.04.02 12141
3273 한내와 가린내 바람의종 2008.04.05 9274
3272 한나절, 반나절, 한겻 바람의종 2008.11.23 10032
3271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291
3270 한글의 약점, 가로쓰기 신문 風文 2022.06.24 1342
3269 한글박물관 / 월식 風文 2020.06.09 1604
3268 한글로 번역한다? 바람의종 2009.12.18 9643
3267 한글과 우리말 바람의종 2008.02.19 7295
3266 한글 맞춤법 강의 - 박기완 윤영환 2006.09.04 26128
3265 한글 바람의종 2010.07.19 8616
3264 한국어의 위상 風文 2022.05.11 1427
3263 한계와 한도 바람의종 2011.12.30 8422
3262 한거 가 가라! file 바람의종 2009.09.01 6477
3261 한강과 사평 바람의종 2008.06.05 761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