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01 19:46

‘돌미’와 ‘살미’

조회 수 7882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돌미’와 ‘살미’

서울 금천구 독산동이나 김포시 양촌면의 석산은 모두 ‘돌미’라 불리던 지역이었다. ‘돌미’에 들어 있는 ‘미’는 ‘산’을 뜻하는 ‘뫼’가 변한 말이다. 이처럼 산을 나타내는 말이 ‘미’로 변화한 땅이름은 매우 많다. 달이 뜨는 산을 뜻하는 ‘월출산’이나 ‘월악산’은 ‘달나미’, 또는 ‘달미’로 불린다.


그런데 ‘미’가 붙은 땅이름이라고 하여 모두 산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충북 중원(충주)의 ‘살미’는 산과는 관련이 없다. 여기에 붙은 ‘미’는 ‘들판’을 뜻하는  ‘가 변화한 말이다.  ‘ 는 〈훈몽자회〉에도 나오는데, 한자 ‘야’(野)를 ‘ 야’로 풀이하였다. 또한 〈두시언해〉에도 ‘누른 흙  두듥엔 하늘 닭이 춤추놋다’라는 구절이 나온다. ‘뫼’와   ‘는 소리가 비슷해서 모두 ‘미’로 바뀔 수 있다. 이처럼 소리는 같으나 뜻이 다른 말을 동음이의어라 부른다.

흥미로운 사실은 일상의 언어생활에서는 동음이의어가 생겨날 경우, 뜻을 변별하기 위해 어느 한 낱말은 다른 말로 대체되어 쓰이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예컨대 ‘계절’을 뜻하는 ‘녀름’이 머릿소리규칙에 따라 ‘여름’으로 변화하면, 본디 있던 ‘여름’은 ‘열매’로 바뀐다. 그런데 땅이름에 나타나는 동음이의어는 이처럼 자유로운 변화를 보이지 못한다. 충북 제천에서는 ‘살미’를 ‘미산’이라 부르는데, 이 땅이름은 ‘쌀이 산처럼 쌓였다’는 전설보다는 ‘미’의 동음이의어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3746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399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198974
» ‘돌미’와 ‘살미’ 바람의종 2008.02.01 7882
3255 ‘때식을 번지다’와 ‘재구를 치다’ 바람의종 2010.05.07 13216
3254 ‘뛰다’와 ‘달리다’ 바람의종 2007.11.05 5375
3253 ‘렷다’ 바람의종 2010.04.27 9484
3252 ‘로서’와 ‘로써’ 바람의종 2009.12.04 9872
3251 ‘막하다’ 바람의종 2008.01.06 7965
3250 ‘말밭’을 가꾸자 바람의종 2011.11.11 8780
3249 ‘맞다’와 ‘맞는다’, 이름 바꾸기 風文 2022.09.11 674
3248 ‘머스트 해브’와 ‘워너비’ 風文 2024.03.27 943
3247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691
3246 ‘몇 일’이 아니고 ‘며칠’인 이유 바람의종 2009.12.01 10692
3245 ‘모라’와 마을 바람의종 2008.02.10 7710
3244 ‘물멀기’와 ‘싸다’ 바람의종 2010.05.17 12836
3243 ‘바드민톤’과 ‘아수한 이별’ 바람의종 2010.04.23 11759
3242 ‘부끄부끄’ ‘쓰담쓰담’ 風文 2023.06.02 962
3241 ‘부럽다’의 방언형 바람의종 2007.10.11 8752
3240 ‘붇다’와 ‘붓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1.14 11770
3239 ‘빼또칼’과 ‘총대가정’ 바람의종 2010.06.08 12468
3238 ‘사흘’ 사태, 그래서 어쩌라고 風文 2022.08.21 1100
3237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843
3236 ‘수놈’과 ‘숫놈’ 風文 2024.05.08 74
3235 ‘시끄러워!’, 직연 風文 2022.10.25 10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