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01 02:11

별내와 비달홀

조회 수 8853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별내와 비달홀

뜻이 같은 한자말과 토박이말이 합친 말이 많다. ‘역전앞’이나 ‘처가집’이 대표적인 경우다. 언어학자들은 같은 뜻을 합쳐 이룬 낱말은 말의 경제적인 차원에서 불합리한 것으로 생각되므로 적절한 말이 아니라고 한다. 따라서 ‘역전’이나 ‘처가’로 써야 바른 표현이라고 한다.

그런데 한자말과 토박이말의 합성어가 전혀 새로운 말을 만들어낼 때도 있다. 예를 들어 ‘족발’은 ‘족’(足)이나 ‘발’만으로는 뜻을 전할 수 없다. 왜 그럴까? 그것은 비록 ‘족’과 ‘발’이 같은 뜻일지라도 두 말이 합치어 새로운 대상을 가리키는 말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옛말 가운데는 ‘별’과 ‘낭’이 그런 보기에 해당한다. 전남 승주군에 있었던 ‘별량(별애)부곡’이나 <삼국사기>에 보이는 ‘압록수 이북의 미수복 지역’ 땅이름인 ‘비달홀’(비탈골)에 들어 있는 ‘별애’와 ‘비탈’은 비스듬한 모양의 지형을 나타내는 말이었다.

우리 옛말에는 ‘별’과 ‘낭’은 비슷하지만 다른 뜻의 말이었다. <동국신속 삼강행실도>의 “ㅈ.식을 업고 낭의 떨어져 죽으니라”라는 구절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낭’은 ‘절벽’을 뜻하며, <동동>의 “6월 보름에 별헤 ㅂ.룐 빗 다호라”에 나오는 ‘별’은 절벽보다는 덜 가파른 비스듬한 지역을 나타낸다. 이 두 말이 합쳐서 ‘벼랑’이라는 말이 된 것이다. 특히 ‘별’은 물을 뜻하는 ‘내’나 ‘고개’를 뜻하는 ‘재’와 어울려 땅이름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깅기 남양주의 ‘별내’나 강원 통천의 ‘별재’는 이런 땅이름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66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26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257
3282 교열의 힘, 말과 시대상 風文 2022.07.11 1303
3281 거짓말과 개소리, 혼잣말의 비밀 風文 2022.11.30 1304
3280 3인칭은 없다, 문자와 일본정신 風文 2022.07.21 1305
3279 남과 북의 언어, 뉘앙스 차이 風文 2022.06.10 1306
3278 아니오 / 아니요 風文 2023.10.08 1306
3277 과잉 수정 風文 2022.05.23 1307
3276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308
3275 야민정음 風文 2022.01.21 1309
3274 개념의 차이, 문화어 風文 2022.06.13 1311
3273 정당의 이름 風文 2022.01.26 1313
3272 일본이 한글 통일?, 타인을 중심에 風文 2022.07.22 1313
3271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315
3270 교정, 교열 / 전공의 風文 2020.05.27 1316
3269 분단 중독증, 잡것의 가치 風文 2022.06.09 1316
3268 비계획적 방출, 주접 댓글 風文 2022.09.08 1317
3267 매뉴얼 / 동통 風文 2020.05.30 1318
3266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318
3265 '김'의 예언 風文 2023.04.13 1319
3264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319
3263 날씨와 인사 風文 2022.05.23 1321
3262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1322
3261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3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