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27 15:33

개차산과 죽산

조회 수 8838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개차산과 죽산

경기도 안성 이죽면의 옛이름은 ‘개산’ 또는 ‘개차산’이었다. <삼국사기> 지리지에, 개산군은 본래 고구려 개차산군이었는데 경덕왕 때 이름을 바꾸었으며, 고려 때는 죽산(竹山)이라고 불렀다. 흥미로운 사실은 죽산의 옛이름으로 ‘개차’라는 말이 존재했다는 점이다.

‘개차’라는 말은 본래 ‘임금’을 뜻하는 말이었다. 이는 행주(幸州)의 옛이름인 ‘개백’에서도 확인된다. 행주는 본디 고구려 개백현(皆伯縣)이었는데 우왕현(遇王縣)으로 바뀌었다가 다시 행주로 바뀐 땅이름이다. 이 ‘개백’은 한자 ‘왕’(王)과 대응되며, ‘개차’(옛음은 ‘가이지’)는 ‘대’[죽]와 대응된다. 땅이름 표기는 토박이말 단어의 첫음절을 한자음으로 쓰거나 그 말에 해당하는 한자를 찾아 맞옮긴다. 이런 원리에 따라 ‘개백’을 ‘왕’으로 옮겼고, ‘개차’는 ‘대’로 옮긴 셈이다. 한자 ‘대’는 큰 것뿐만 아니라 왕과도 관련이 있다.

중국 역사서인 <주서> 이역전 백제조에는 “왕의 성은 부여씨로 어라하라 불렀으며, 백성들은 건길지라 불렀는데, 중국말로는 왕이란 뜻이다”라는 기록이 있다. 여기에 나타나는 ‘건길지’는 ‘건’과 ‘길지’로 이루어진 말이다. ‘건’은 몽골어 ‘칸’에 해당하며, ‘길지’는 ‘개차’와 마찬가지로 임금에 해당한다.

‘개차산’이 ‘죽산’이 된 것은 토박이말이 한자말로 바뀌는 과정과 관련이 있을 뿐 한자가 뜻하는 ‘대나무’와는 무관하다. 이처럼 땅이름 변화에는 우리말의 역사가 고스란히 담긴 경우가 많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083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721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2329
154 아귀다툼 바람의종 2007.05.16 12499
153 십상이다 바람의종 2007.05.16 6882
152 심심파적 바람의종 2007.05.15 9702
151 선보다 바람의종 2007.05.15 7832
150 서방님 바람의종 2007.05.12 8458
149 상피 붙다 바람의종 2007.05.12 14548
148 산통 깨다 바람의종 2007.05.10 10875
147 번갈아 바람의종 2007.05.10 8010
146 박살내다 바람의종 2007.05.09 10118
145 무동태우다 바람의종 2007.05.09 8700
144 맥적다 바람의종 2007.05.08 9656
143 난장판 바람의종 2007.05.08 8443
142 기합 주다 바람의종 2007.05.07 9965
141 기특하다 바람의종 2007.05.07 9559
140 기절하다 바람의종 2007.05.06 7775
139 기구하다 바람의종 2007.05.06 13370
138 근사하다 바람의종 2007.05.02 11230
137 관자놀이 바람의종 2007.05.02 11128
136 강남 제비 바람의종 2007.04.29 10844
135 감감소식 바람의종 2007.04.29 8000
134 가능·가성능/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423
133 필요한 사람?/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11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