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21 11:04

태백산과 아사달

조회 수 7619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태백산과 아사달

신화는 그 겨레의 뿌리이자 정신세계를 반영한다.

<삼국유사>에 기록된 ‘단군신화’는 우리 겨레의 뿌리이자 정신세계가 담긴 것라고 할 수 있다. 하느님의 아들인 환웅이 아사달 신단수에 내려와 웅녀와 혼인하여 아들을 낳았고, 그 아들의 이름을 단군이라 불렀다는 게 단군신화의 내용이다. 이에 <신증동국여지승람>은 하늘에서 신인이 태백산 박달나무 아래로 내려와 나라를 세웠는데, 백성들이 그를 단군이라 부른 것으로 기록한 바 있다.

다소 차이는 있지만, 우리는 두 문헌에 나온 기록을 통해 단군신화에 나타나는 ‘아사달’과 ‘태백산’이 같은 곳을 뜻함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아사달’에서 ‘달’은 <삼국사기> 지리지 고구려계 땅이름에서 흔히 발견되는데, 한자어 ‘산’(山)과 같은 뜻을 지닌 말이며, ‘아사’는 ‘아침’의 어원에 해당하는 말로, 알타이어에 드는 퉁구스·터키·몽골어에서도 흔적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아침’과 ‘밝음’, ‘태양’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그렇기에 단군이 세운 나라를 ‘조선’(朝鮮)이라 부른 것도 자연스러운 일로 보인다. 아침을 밝히는 주체가 ‘해’라는 점을 고려하면, ‘태백산’은 ‘아사달’의 한자어인 셈이다. 더욱이 ‘태백산·소백산·백운산·백마산’에 나오는 ‘백’(白)은 모두 ‘태양’과 관련을 맺는데, 이는 ‘해’를 한자로 옮길 때 ‘백’(白)을 썼다는 얘기다. 우리나라 곳곳에는 ‘해’와 관련된 땅이름들이 많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22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74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726
3150 주권자의 외침 風文 2022.01.13 1389
3149 지식생산, 동의함 風文 2022.07.10 1390
3148 대화의 어려움, 칭찬하기 風文 2022.06.02 1392
3147 살인 진드기 風文 2020.05.02 1393
3146 외부인과 내부인 風文 2021.10.31 1393
3145 아카시아 1, 2 風文 2020.05.31 1396
3144 웃어른/ 윗집/ 위층 風文 2024.03.26 1396
3143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IMF, 막고 품어라, 내 인감 좀 빌려주게 風文 2022.02.01 1397
3142 후텁지근한 風文 2023.11.15 1401
3141 떼려야 뗄 수 없는 인연 風文 2024.02.17 1401
3140 올가을 첫눈 / 김치 風文 2020.05.20 1407
3139 형용모순, 언어의 퇴보 風文 2022.07.14 1408
3138 방언의 힘 風文 2021.11.02 1410
3137 비는 오는 게 맞나, 현타 風文 2022.08.02 1410
3136 콩글리시 風文 2022.05.18 1413
3135 벌금 50위안 風文 2020.04.28 1415
3134 성인의 세계 風文 2022.05.10 1416
3133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風文 2022.09.03 1417
3132 한국어의 위상 風文 2022.05.11 1421
3131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1.07 1425
3130 ‘개덥다’고? 風文 2023.11.24 1427
3129 ‘시끄러워!’, 직연 風文 2022.10.25 142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