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9 11:18

안시성과 아골관

조회 수 6620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안시성과 아골관

안시성(安市城)은 고구려 역사에서도 상징적인 곳이라고 할 수 있다. 양만춘 장군이 쏜 화살이 당태종 이세민의 눈을 맞힘으로써 당의 침략을 막아낸 곳이 그곳인 까닭이다. 그런데 안시성은 어떤 뜻을 지닌 말일까?

<이재속고> ‘화음방언자의해’에는 “압록강을 건너 구련성이 있는데, 명나라 때 요동에 소속되었다. <삼연집>에서는 아골관(鴉?關)이라 일컬었으며, 만력 병신년에 이름을 고쳐 ‘진강성’이라 하고 유격부를 설치했다. 청나라 사람들은 그 땅을 비워 두었으니 대개 요하의 동쪽으로, 본디 고구려의 옛 경계다. 당서에는 안시성은 없으나 곧 아골관이 그곳이다. 아(鴉)와 안(安)은 소리가 비슷하고, 골(?)과 시(市) 두 자모 또한 서로 바뀐 것이다”라고 적고 있다. 여기서 우리는 안시성의 옛이름으로 ‘아골관’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아골관’의 ‘골’(?)은 <집운>에서 ‘홀’(忽)과 같다. 이 ‘홀’이 고구려의 땅이름 가운데 마을을 뜻하는 말이었음을 고려한다면, 안시성도 고구려의 수많은 ‘홀’이 붙은 땅이름임을 알 수 있다.

<삼국사기>에는 안시성을 ‘안촌홀’이라 했으며, ‘환도성’이라고도 하였다. 또한 <연행록>을 비롯하여 많은 문헌 기록에는 안시성을 ‘봉황성’이라고도 했다. ‘환’(環)은 둥근 알을 뜻하며, 봉황은 신령스런 새이니 환도성과 봉황성은 그뜻을 한자로 살린 이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른바 ‘동북공정’에서 한국사 비틀기를 바로잡는 데 내려오는 땅이름의 실체도 좋은 자료가 될 듯하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029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683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1837
154 언어의 혁신 風文 2021.10.14 936
153 김치 담그셨어요? 風文 2024.02.08 935
152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934
151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932
150 왕의 화병 風文 2023.11.09 931
149 뒤죽박죽, 말썽꾼, 턱스크 風文 2022.08.23 929
148 웃어른/ 윗집/ 위층 風文 2024.03.26 929
147 내 청춘에게? 風文 2024.02.17 928
146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927
145 더(the) 한국말 風文 2021.12.01 926
144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925
143 새로운 한자어, 이름과 실천 風文 2022.06.18 924
142 말과 상거래 風文 2022.05.20 921
141 아줌마들 風文 2022.01.30 920
140 조의금 봉투 風文 2023.11.15 919
139 금수저 흙수저 風文 2024.02.08 918
138 비판과 막말 風文 2021.09.15 917
137 사저와 자택 風文 2022.01.30 917
136 말의 이중성, 하나 마나 한 말 風文 2022.07.25 917
135 뒷담화 보도, 교각살우 風文 2022.06.27 916
134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916
133 주어 없는 말 風文 2021.11.10 91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