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8 06:32

압록강과 마자수

조회 수 6737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압록강과 마자수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는 압록강을 건너 연경(북경)을 거쳐 황제의 행궁이 있었던 열하까지 여행한 기행문이다. 이 책에서 압록강은 ‘마자수’라고 부르기도 하였는데, 그 근원이 말갈의 백산(백두산)으로부터 출발하며, 물빛이 오리의 머리빛깔과 같다고 하여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 압록강은 분명 물빛에서 나온 이름이다. 그런데 압록강을 왜 ‘마자수’(馬紫水)라 불렀던 것일까?

흥미로운 사실은 ‘마자’가 용(龍)을 뜻하는 토박이말 ‘미르’와 관련이 있다는 황윤석의 해석이다. 황윤석은 영조 때의 실학자로〈이제속고〉라는 문집으로 유명하다. 이 책의 잡저에는 ‘화음방언자의해’라는 글이 실려 있다. 말 그대로 중국의 한자음이 우리말에서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설명하는 글이다. 여기서 곧 ‘마자’와 ‘미르’는 같은 소리였다고 한다. 그렇기에 압록강을 ‘마자수’ 또는 ‘용만’(龍灣)이라 불렀고, 또 압록강 가까이 있는 ‘의주’를 ‘용만’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땅이름 가운데 미르 ‘용’자가 들어간 곳도 비교적 많다. 유래를 확인할 수는 없지만, 연변에는 ‘용정’(龍井)이 있고, 서울에서 ‘용산’이 있다. 서울의 용산은 백제 기루왕 때 한강에서 두 마리 용이 나타났던 까닭으로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 이처럼 땅이름은 어원보다는 설화 속에서 전승되는 경우가 많지만, ‘마자수’에 ‘미르’가 남아 있듯이 풍요로운 우리말의 창고 구실을 한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3967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626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1215
3322 ‘끄물끄물’ ‘꾸물꾸물’ 風文 2024.02.21 873
3321 외교관과 외국어, 백두산 전설 風文 2022.06.23 874
3320 일고의 가치 風文 2022.01.07 876
3319 쓰봉 風文 2023.11.16 876
3318 사람, 동물, 언어 / 언어와 인권 風文 2022.07.13 877
3317 내 청춘에게? 風文 2024.02.17 879
3316 말과 상거래 風文 2022.05.20 881
3315 물타기 어휘, 개념 경쟁 風文 2022.06.26 881
3314 동무 생각, 마실 외교 風文 2022.06.14 882
3313 외국어 차용 風文 2022.05.06 883
3312 소통과 삐딱함 風文 2021.10.30 887
3311 연말용 상투어 風文 2022.01.25 887
3310 국물도 없다, 그림책 읽어 주자 風文 2022.08.22 887
3309 어떤 청탁, ‘공정’의 언어학 風文 2022.09.21 887
3308 말과 서열, 세대차와 언어감각 風文 2022.06.21 888
3307 모호하다 / 금쪽이 風文 2023.10.11 889
3306 혁신의 의미, 말과 폭력 風文 2022.06.20 890
3305 조의금 봉투 風文 2023.11.15 890
3304 ‘요새’와 ‘금세’ 風文 2024.02.18 891
3303 사저와 자택 風文 2022.01.30 892
3302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892
3301 시간에 쫓기다, 차별금지법과 말 風文 2022.09.05 89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