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8 06:32

압록강과 마자수

조회 수 6749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압록강과 마자수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는 압록강을 건너 연경(북경)을 거쳐 황제의 행궁이 있었던 열하까지 여행한 기행문이다. 이 책에서 압록강은 ‘마자수’라고 부르기도 하였는데, 그 근원이 말갈의 백산(백두산)으로부터 출발하며, 물빛이 오리의 머리빛깔과 같다고 하여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 압록강은 분명 물빛에서 나온 이름이다. 그런데 압록강을 왜 ‘마자수’(馬紫水)라 불렀던 것일까?

흥미로운 사실은 ‘마자’가 용(龍)을 뜻하는 토박이말 ‘미르’와 관련이 있다는 황윤석의 해석이다. 황윤석은 영조 때의 실학자로〈이제속고〉라는 문집으로 유명하다. 이 책의 잡저에는 ‘화음방언자의해’라는 글이 실려 있다. 말 그대로 중국의 한자음이 우리말에서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설명하는 글이다. 여기서 곧 ‘마자’와 ‘미르’는 같은 소리였다고 한다. 그렇기에 압록강을 ‘마자수’ 또는 ‘용만’(龍灣)이라 불렀고, 또 압록강 가까이 있는 ‘의주’를 ‘용만’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땅이름 가운데 미르 ‘용’자가 들어간 곳도 비교적 많다. 유래를 확인할 수는 없지만, 연변에는 ‘용정’(龍井)이 있고, 서울에서 ‘용산’이 있다. 서울의 용산은 백제 기루왕 때 한강에서 두 마리 용이 나타났던 까닭으로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 이처럼 땅이름은 어원보다는 설화 속에서 전승되는 경우가 많지만, ‘마자수’에 ‘미르’가 남아 있듯이 풍요로운 우리말의 창고 구실을 한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019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673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1756
3322 멋지다 연진아, 멋지다 루카셴코 風文 2023.04.17 1107
3321 어쩌다 보니 風文 2023.04.14 1197
3320 '김'의 예언 風文 2023.04.13 877
3319 “김” 風文 2023.03.06 1318
3318 울면서 말하기 風文 2023.03.01 938
3317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932
3316 남친과 남사친 風文 2023.02.13 1089
3315 국가의 목소리 風文 2023.02.06 1218
3314 말의 세대 차 風文 2023.02.01 961
3313 ‘통일’의 반대말 風文 2023.01.16 1384
3312 헛스윙, 헛웃음, 헛기침의 쓸모 風文 2023.01.09 1121
3311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016
3310 말하는 입 風文 2023.01.03 983
3309 ○○노조 風文 2022.12.26 991
3308 구경꾼의 말 風文 2022.12.19 1040
3307 맞춤법·표준어 제정, 국가 독점?…오늘도 ‘손사래’ 風文 2022.12.12 1523
3306 평어 쓰기, 그 후 / 위협하는 기록 風文 2022.12.07 1572
3305 ‘웃기고 있네’와 ‘웃기고 자빠졌네’, ‘-도’와 나머지 風文 2022.12.06 1075
3304 “자식들, 꽃들아, 미안하다, 보고 싶다, 사랑한다, 부디 잘 가라” 風文 2022.12.02 1111
3303 질척거리다, 마약 김밥 風文 2022.12.01 1304
3302 거짓말과 개소리, 혼잣말의 비밀 風文 2022.11.30 935
3301 ‘외국어’라는 외부, ‘영어’라는 내부 風文 2022.11.28 128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