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0 01:28

말소리의 억양

조회 수 6930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말소리의 억양

우리는 낯선 사람이 하는 말을 듣고 그 사람의 고장을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다. 독특하게 쓰는 낱말을 통해서도 알 수 있지만, 대개는 말씨에 나타나는 억양으로 알 수 있다. 억양이란 문장에 얹히는 소리의 높낮이를 말하는데 억양은 그 말의 특징을 구별해 주는 구실을 한다. 억양을 통해 사투리를 분간할 수 있는 것은 우리말뿐만 아니라 여러 말에서도 마찬가지다. 영어에서 영국영어, 미국영어를 분간하고, 미국영어 가운데서도 인종간의 언어 차이를 분간하는 데 억양이 그 몫을 한다.

그런데 억양은 문장의 문법 기능을 구별하는 데도 쓰인다. 우리말에서 보면, 똑같은 문장을 두고 끝 억양을 올리느냐 내리느냐에 따라 문법 기능이 달라진다. ‘이 책 읽었어요’를 끝을 내려 말하면 ‘읽었다’는 서술의 뜻이고, 끝을 올려 말하면 ‘읽었느냐’란 의문의 뜻이다. 영어에서도 ‘You are reading the book’을 올려 발음하면 묻는 문장이 된다. 대부분 언어에서 서술문은 문장 끝에 내림 억양이 놓이고 의문문은 문장 끝에 올림 억양이 놓인다.

문장이 아니더라도 한 낱말로 된 말도막도 억양 따라 뜻이 구별되는 경우가 많다. 영어 ‘What’은, 억양을 올리면 앞에 한 말을 되풀이해 달라는 요구이며, 내리면 내가 잘 듣고 있다는 뜻이고, 높은소리로 말하면 절망과 불신을 나타낸다. 이처럼 억양은 모든 언어에서 말씨의 특징을 나타내기도 하고, 문법적 기능을 구별해 주기도 한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21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75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713
136 용찬 샘, 용찬 씨 風文 2023.04.26 1351
135 영어 열등감, 몸에 닿는 단위 風文 2022.04.27 1350
134 울면서 말하기 風文 2023.03.01 1349
133 사저와 자택 風文 2022.01.30 1348
132 국가 사전을 다시?(2,3) 주인장 2022.10.21 1347
131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345
130 그림과 말, 어이, 택배! 風文 2022.09.16 1344
129 야민정음 風文 2022.01.21 1343
128 법과 도덕 風文 2022.01.25 1343
127 조의금 봉투 風文 2023.11.15 1343
126 말과 상거래 風文 2022.05.20 1342
125 ‘짝퉁’ 시인 되기, ‘짝퉁’ 철학자 되기 風文 2022.07.16 1341
124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339
123 주어 없는 말 風文 2021.11.10 1338
122 성인의 외국어 학습, 촌철살인 風文 2022.06.19 1338
121 외국어 차용 風文 2022.05.06 1337
120 애정하다, 예쁜 말은 없다 風文 2022.07.28 1337
119 다만, 다만, 다만, 뒷담화 風文 2022.09.07 1335
118 꼬까울새 / 해독, 치유 風文 2020.05.25 1332
117 올림픽 담론, 분단의 어휘 風文 2022.05.31 1332
116 뒤죽박죽, 말썽꾼, 턱스크 風文 2022.08.23 1332
115 교정, 교열 / 전공의 風文 2020.05.27 13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