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05 00:30

호박고지

조회 수 9264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호박고지

햇볕이 따사로운 철이면 어머니의 손길이 바빠진다. 겨울에 먹을 마른 음식과 밑반찬 준비 때문이다. 겨우내 먹을 밑반찬으로 고추도 말려야 하고, 깻잎도 절여야 하고, 또 호박과 가지와 무를 얇게 썰어 햇볕에 말려두어야 한다. 무와 가지를 말린 것을 표준어로는 ‘무말랭이’, ‘가지말랭이’라고 하고, 호박을 말린 것은 ‘호박고지, 호박오가리’라고 한다.

‘오가리’는 ‘오글다, 오그라지다’와 관련된 낱말로, 고장에 따라 ‘우거리, 우가리, 와가리, 왁다리’로 발음한다. ‘고지’는 ‘고지, 꼬지’로 많이 쓰고, ‘고지’에 접미사 ‘-아기, -앙이’가 연결되어 만들어진 ‘고재기, 꼬쟁이’의 형태도 보인다. ‘오가리’와 ‘고지’가 뜻이 비슷한 까닭에 두 말이 섞이면서 ‘우거지, 고자리’의 형태로도 쓰인다. 제주도에서는 ‘말랭이’를 많이 쓴다. 지역에 따라서 ‘꼬시래기, 속씨래기, 쪼가리’로 쓰는 경우도 있다.

무말랭이는 양념을 해서 반찬을 만들면 졸깃한 느낌 덕분에 마치 고기를 씹는 듯하다. 가지말랭이나 호박고지는 겨울철 반찬이 마땅치 않을 때, 나물을 무치거나 탕을 하면 그 맛이 일품이다. 특히 이렇게 말려 놓은 무말랭이나 호박고지 등은 정월 보름날에 나물로 많이 쓴다. 가을철, 따사로운 햇볕을 그냥 보내기 아깝다. 애호박을 얇게 썰고 가지를 길게 썰어, 채반에 널어서 말리는 풍경이 그립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80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41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409
3348 잃어버린 말 찾기, ‘영끌’과 ‘갈아넣다’ 風文 2022.08.30 1212
3347 군색한, 궁색한 風文 2023.11.21 1213
3346 온실과 야생, 학교, 의미의 반사 風文 2022.09.01 1218
3345 ‘내 부인’이 돼 달라고? 風文 2023.11.01 1218
3344 모호하다 / 금쪽이 風文 2023.10.11 1219
3343 경평 축구, 말과 동작 風文 2022.06.01 1220
3342 내연녀와 동거인 風文 2023.04.19 1221
3341 어떤 반성문 風文 2023.12.20 1221
3340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風文 2023.12.30 1221
3339 24시 / 지지지난 風文 2020.05.16 1224
3338 올림픽 담론, 분단의 어휘 風文 2022.05.31 1228
3337 인과와 편향, 같잖다 風文 2022.10.10 1228
3336 노동과 근로, 유행어와 신조어 風文 2022.07.12 1232
3335 옹알이 風文 2021.09.03 1238
3334 영어의 힘 風文 2022.05.12 1238
3333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이제 '본전생각' 좀 버립시다 風文 2022.02.06 1240
3332 고백하는 국가, 말하기의 순서 風文 2022.08.05 1243
3331 왜 벌써 절망합니까 - 벤처대부는 나의 소망 風文 2022.05.26 1245
3330 연말용 상투어 風文 2022.01.25 1248
3329 외국어 차용 風文 2022.05.06 1248
3328 시간에 쫓기다, 차별금지법과 말 風文 2022.09.05 1251
3327 말의 세대 차 風文 2023.02.01 125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