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02 16:58

드라비다말

조회 수 7002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드라비다말

인도말에 대해 좀더 살펴보자. 인도말은 대부분 인도유럽어족에 들지만, 남부 인도에 널리 퍼져서 쓰이는 말들은 드라비다어족에 든다. 이 말겨레는 남부 인도와 스리랑카 쪽에서 많이 쓰며, 파키스탄에서도 쓰이는데, 사용 인구는 모두 1억4천만 정도다. 대표적인 말은 기원전부터 오랜 전통과 문학을 간직한 타밀말이다. 그런데 북부 인도에서도 드라비다말 쓰임이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기원전 이천년쯤 인도유럽말이 인도에 들어올 당시 인도에 가장 널리 퍼져 쓰이던 말이 바로 드라비다말이었을지도 모른다.

드라비다말의 명사는 단수·복수를 표시하며, 대명사는 남성·여성·중성으로 나뉜다. 알타이말·우랄말처럼 교착어에 해당하고, 문장도 주어-목적어-서술어 차례로 짜인다. 그래서 알타이말과 드라비다말이 같은 계통이 아닐까 생각하는 학자들도 있다. 20세기 초 헐버트라는 학자는 우리말과 드라비다말 몇 가지와 문법을 비교한 적이 있다. [kuvi]와 ‘구멍’, [kwi]와 ‘귀’, ‘집’을 뜻하는 [kudi]와 ‘구들’이 그런 보기다. 긍정적인 대답을 뜻하는 [am]과 우리말의 ‘암, 그렇고말고’ 등을 견주기도 했고, [pen](여자)과 ‘여펜네’를 견줬으나 신빙성이 거의 없다.

요즘도 우리말과 드라비다말의 계통 관련성을 주장하는 사람이 더러 있다. 그러나 그저 몇몇 낱말이나 문법 구조가 비슷하다고 해서 계통이 같다고 주장하는 것은 언어학적으로 매우 위험한 일이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57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11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026
114 말높이기 바람의종 2008.01.13 6403
113 서울 바람의종 2008.01.12 6552
112 고양이 바람의종 2008.01.12 7974
111 울과 담 바람의종 2008.01.12 7618
110 떨려나다 바람의종 2008.01.11 9002
109 말다듬기 바람의종 2008.01.10 6534
108 말소리의 억양 바람의종 2008.01.10 6930
107 쇠죽 바람의종 2008.01.10 8818
106 먹거리와 먹을거리 바람의종 2008.01.08 8477
105 헛이름 바람의종 2008.01.08 10826
104 말소리의 높낮이 바람의종 2008.01.08 7278
103 ‘오빠 부대’ 바람의종 2008.01.07 7601
102 겨울 바람의종 2008.01.07 8371
101 참말과 거짓말 바람의종 2008.01.07 8916
100 ‘막하다’ 바람의종 2008.01.06 8291
99 노무족 바람의종 2008.01.06 6391
98 모음의 짜임새 바람의종 2008.01.06 5880
97 호박고지 바람의종 2008.01.05 9317
96 할말과 못할말 바람의종 2008.01.05 7660
95 제맛 바람의종 2008.01.05 7883
94 자음의 짜임새 바람의종 2008.01.04 7123
93 경제 새말 바람의종 2008.01.04 751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