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26 15:18

값과 삯

조회 수 5792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값과 삯

‘값’은 남 것을 내 것으로 만들 적에 내놓는 값어치다. 거꾸로, 내가 가진 것을 남에게 주고 받아내는 값어치기도 하다. 값을 받고 팔거나 값을 치르고 사거나 하는 노릇이 잦아지면서 때와 곳을 마련해 놓고 사람들이 모여서 팔고 샀다. 그 때가 장날이고, 그 곳이 장터다. 닷새 만에 열리는 장날에는 팔려는 것을 내놓는 장수와 사려는 것을 찾는 손님들로 장터가 시끌벅적하다. 값을 올리려는 장수와 값을 낮추려는 손님이 흥정을 할 수 있도록 미리 내놓는 값의 말미가 ‘금’이다. 금을 미리 내놓는 노릇을 ‘금을 띄운다’ 하고, 그렇게 띄워 놓은 금이 ‘뜬금’이다. 뜬금이 있어야 흥정을 거쳐서 값을 매듭지어 거래를 하는데, 금도 띄우지 않고 거래를 매듭지으려 들면 ‘뜬금없는’ 짓이 된다.

‘삯’은 내 것으로 만들며 치르는 ‘값’과는 달리 남 것을 얼마간 빌려 쓰는 데 내놓는 값어치다. ‘찻삯’이나 ‘뱃삯’은 차나 배를 타는 데 치르는 값어치, ‘찻값’이나 ‘뱃값’은 차나 배를 사는 데 치르는 값어치다. 삯에서 종요로운 것은 ‘품삯’이다. ‘품’이란 사람이 지닌 힘과 슬기의 값어치고, 그것을 빌려 쓰고 내는 것이 ‘품삯’이다. 품은 빌려주고 삯을 받기도 하지만 되돌려 받는 ‘품앗이’가 본디 제격이었다. 가진 것이 없어서 품을 팔아 먹고사는 사람을 ‘품팔이’라 하는데, 품을 빌리지 않고 사려면 ‘품삯’이 아니라 ‘품값’을 치러야 한다. 요즘 세상은 거의 모든 사람이 품을 팔아야 살게 되어서 ‘품값’ 때문에 세상이 온통 시끄럽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89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39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438
2996 중화사상 바람의종 2007.12.21 9472
2995 사람 바람의종 2007.12.21 6652
2994 미꾸라지 바람의종 2007.12.21 7303
2993 지도 편달 바람의종 2007.12.22 35811
2992 천편일률 바람의종 2007.12.22 7351
2991 주머니차 바람의종 2007.12.22 7410
2990 우리말 계통 바람의종 2007.12.22 5785
2989 풍비박산 바람의종 2007.12.23 10027
2988 피로 회복 바람의종 2007.12.23 10108
2987 누다와 싸다 바람의종 2007.12.23 7716
2986 깍두기 바람의종 2007.12.23 6610
2985 함흥차사 바람의종 2007.12.24 11868
2984 혈혈단신 바람의종 2007.12.24 7542
2983 된장녀 바람의종 2007.12.24 6722
2982 언어 대국, 인도 바람의종 2007.12.24 7187
2981 간이 부었다 바람의종 2007.12.26 11754
2980 거덜이 나다 바람의종 2007.12.26 9598
2979 웃음 바람의종 2007.12.26 7407
» 값과 삯 바람의종 2007.12.26 5792
2977 걸신들리다 바람의종 2007.12.27 12546
2976 경을 치다 바람의종 2007.12.27 13458
2975 벵갈말 바람의종 2007.12.27 646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