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17 02:09

궁시렁궁시렁

조회 수 7082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궁시렁궁시렁

소리나 모양을 본떠서 나타내는 낱말을 시늉말이라 한다. 이런 말은 ‘졸졸/줄줄’, ‘겅중겅중/껑충껑충’처럼 자음이나 모음을 바꿔 느낌을 달리 나타낼 수 있다. 곧 ‘졸졸’보다 ‘줄줄’이 크고 무거운 느낌을, ‘겅중겅중’보다 ‘껑충껑충’이 ‘세고 거친 느낌’을 준다. 이처럼 시늉말에서는 양성보다 음성모음이 결합된 말이 크고 무거운 느낌을, 예사소리보다 된소리나 거센소리가 합친 말이 세고 거친 느낌을 준다. 시늉말 가운데 사전에 오르지 않은 낱말이 적잖다.

“궁시렁궁시렁 불만이 많지만 … 조금씩 악기를 연주하게 된다.”(〈한겨레〉 2006년 3월15일치)/ “등 뒤에서 운전사가 뭐라고 궁시렁거리는 소리가 들렸지만 상관하지 않았다.”(구효서 〈낯선 여름〉)/ “칡덩굴로 탄탄하게 엮은 광주리 속에서 중병아리가 삐약삐약 운다.”(박경리 〈토지〉)

못마땅하여 군소리를 자꾸 하는 모양을 뜻하는 말로 ‘구시렁구시렁’은 있지만 ‘궁시렁궁시렁’은 사전에 없고, ‘삐악삐악’은 있지만 ‘삐약삐약’은 오르지 않았다. 시늉말은 소리나 모양을 본뜬 말이므로 언중이 널리 쓰는 말을 사전에 올려야 한다. 현실에서는 ‘구시렁구시렁’보다는 ‘궁시렁궁시렁’이, ‘삐악삐악’보다는 ‘삐약삐약’이 더 많이 쓰인다. 이 말들을 사전에 올린다면 ‘궁시렁거리다·궁시렁대다·궁시렁궁시렁하다’와 ‘삐약거리다·삐약대다·삐약삐약하다’도 함께 올려야 할 것이다.

한용운/겨레말큰사전 편찬부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17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67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564
70 성적이 수치스럽다고? 風文 2023.11.10 1555
69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390
68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431
67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452
66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425
65 조의금 봉투 風文 2023.11.15 1381
64 후텁지근한 風文 2023.11.15 1633
63 붓다 / 붇다 風文 2023.11.15 1406
62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446
61 부사, 문득 風文 2023.11.16 1181
60 쓰봉 風文 2023.11.16 1267
59 까치발 風文 2023.11.20 1413
58 ‘가오’와 ‘간지’ 風文 2023.11.20 1428
57 주현씨가 말했다 風文 2023.11.21 1421
56 군색한, 궁색한 風文 2023.11.21 1307
55 몰래 요동치는 말 風文 2023.11.22 1258
54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432
53 내색 風文 2023.11.24 1192
52 ‘개덥다’고? 風文 2023.11.24 1723
51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1429
50 '마징가 Z'와 'DMZ' 風文 2023.11.25 1600
49 흰 백일홍? 風文 2023.11.27 201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