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15 03:05

옮김과 뒤침

조회 수 8174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옮김과 뒤침

남의 글을 우리말로 바꾸는 일을 요즘 흔히 ‘옮김’이라 한다. 조선 시대에는 ‘언해’ 또는 ‘번역’이라 했다. 아직도 ‘번역’ 또는 ‘역’이라 적는 사람이 있는데, 일본 사람들이 그렇게 쓰니까 본뜨는 것이 아닌가 싶다.

‘언해’든 ‘번역’이든 ‘역’이든 이것들은 모두 우리말이 아니지만 ‘옮김’은 우리말이라 훨씬 낫다고 본다. 그러나 ‘옮김’은 무엇을 있는 자리에서 다른 자리로 자리바꿈하는 것이다. 거기서 ‘발걸음을 옮기다’, ‘직장을 옮기다’, ‘말을 옮기다’, ‘모종을 옮기다’, ‘눈길을 옮기다’, ‘실천에 옮기다’ 같은 데로 뜻이 넓혀지지만 언제나 무엇을 ‘있는 그대로’ 자리바꿈하는 뜻으로만 써야 한다.

남의 글을 우리말로 바꾸는 것을 우리는 ‘뒤침’이라 했다. 글말로는 ‘언해·번역’이라 썼지만 입말로는 ‘뒤침’이었다고 본다. ‘뒤치다’를 국어사전에는 “자빠진 것을 엎어놓거나, 엎어진 것을 젖혀놓다” 했으나 그것은 본디 뜻이고, 그런 본디 뜻에서 “하나의 말을 또 다른 말로 바꾸어놓는 것”으로 넓혀졌다. 어릴 적에 나는 서당 선생님이 “어디 한 번 읽어 봐” 하시고, 또 “그럼 어디 뒤쳐 봐” 하시는 말씀을 늘 들었다. ‘뒤쳐 보라’는 말씀은 가끔 ‘새겨 보라’고도 하셨는데, ‘새기라’는 말씀은 속살을 알아들을 만하게 풀이하라는 쪽으로 기울어져 ‘뒤치라’는 것과 조금은 뜻이 달랐다. 어린 시절 나는 ‘읽다’와 더불어 ‘뒤치다’, ‘새기다’, ‘풀이하다’ 같은 낱말을 서로 다른 뜻으로 쓰면서 자랐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14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62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518
70 어떤 청탁, ‘공정’의 언어학 風文 2022.09.21 1268
69 비대칭적 반말, 가짜 정보 風文 2022.06.07 1267
68 쓰봉 風文 2023.11.16 1267
67 언어와 인권 風文 2021.10.28 1258
66 국물도 없다, 그림책 읽어 주자 風文 2022.08.22 1258
65 외국어 선택, 다언어 사회 風文 2022.05.16 1255
64 몰래 요동치는 말 風文 2023.11.22 1255
63 올해엔 저지른다, ‘죄송하지만’ 風文 2022.08.04 1251
62 고양이 살해, 최순실의 옥중수기 風文 2022.08.18 1251
61 이중피동의 쓸모 風文 2023.11.10 1250
60 뒷담화 보도, 교각살우 風文 2022.06.27 1246
59 사과의 법칙, ‘5·18’이라는 말 風文 2022.08.16 1246
58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선한 기업이 성공한다 風文 2021.10.31 1244
57 댄싱 나인 시즌 스리 風文 2023.04.21 1242
56 말과 공감 능력 風文 2022.01.26 1236
55 댕댕이, 코로나는 여성? 風文 2022.10.07 1235
54 권력의 용어 風文 2022.02.10 1234
53 안녕히, ‘~고 말했다’ 風文 2022.10.11 1234
52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자네 복싱 좋아하나? 風文 2022.02.10 1231
51 여보세요? 風文 2023.12.22 1224
50 왜 벌써 절망합니까 - 훼방만 말아 달라 風文 2022.05.23 1210
49 영어 절대평가 風文 2022.05.17 120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