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10 02:41

몽골말과 몽골어파

조회 수 9509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몽골말과 몽골어파

어느 나라말이든 들온말(차용어)이 있다. 우리말에서도 고려 때 몽골 쪽에서 적잖은 말들이 들어왔다. 이는 시대상황을 반영하는데, 말·매와 같은 동물을 일컫는 말, 그리고 군사·음식에 관련된 말들이 주로 차용되었다. ‘가라말’(검은말), ‘간자말’(흰말), ‘고라말’(누런말), ‘구렁말’(밤색말), ‘서라말’(점박이말) 따위가 몽골말 차용어다. ‘송골매, 보라매’도, 임금의 밥을 뜻하는 ‘수라’도 몽골에서 들온말이다.

이렇게 우리말에 영향을 끼친 몽골말은 현재 몽골공화국에서 200만 남짓, 중국의 네이멍구자치구에서 500만 남짓이 쓰고 있다. 특히 몽골공화국에서 쓰는 말을 할하몽골말이라 한다. 몽골말은 위구르글자를 빌려 자기 말을 적었는데, 이것이 바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세로쓰기를 하는 고유의 몽골글자다.

계통 분류로 보면, 몽골어는 알타이어족 몽골어파에 든다. 10세기 초 요나라를 세운 거란족의 말이 몽골어파의 옛말로 추정된다. 몽골어파는 현재 러시아와 중국 땅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러시아 땅에는 부리야트말, 칼미크말이, 중국 땅에 다고르어, 몽구오르어, 보난어, 캉자어, 둥샹어, 동부유고어가 쓰이는데, 이 가운데는 사용 인구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말도 여럿 있다. 나이 든 사람들은 중국말이나 러시아말과 자기 말을 함께 쓰면서 살고, 젊은이들은 중국말이나 러시아말에 훨씬 더 친숙하여 모국어를 점차 잊어 가면서 살고 있다. 말이 사라지는 안타까움을 눈앞에서 보고 산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311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961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4747
66 성적이 수치스럽다고? 風文 2023.11.10 1212
65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974
64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135
63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167
62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114
61 조의금 봉투 風文 2023.11.15 1022
60 후텁지근한 風文 2023.11.15 1137
59 붓다 / 붇다 風文 2023.11.15 1127
58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070
57 부사, 문득 風文 2023.11.16 937
56 쓰봉 風文 2023.11.16 965
55 까치발 風文 2023.11.20 1100
54 ‘가오’와 ‘간지’ 風文 2023.11.20 1104
53 주현씨가 말했다 風文 2023.11.21 1121
52 군색한, 궁색한 風文 2023.11.21 985
51 몰래 요동치는 말 風文 2023.11.22 919
50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067
49 내색 風文 2023.11.24 871
48 ‘개덥다’고? 風文 2023.11.24 1253
47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1091
46 '마징가 Z'와 'DMZ' 風文 2023.11.25 1130
45 흰 백일홍? 風文 2023.11.27 136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