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8 02:05

터키말과 튀르크어파

조회 수 6609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터키말과 튀르크어파

우리말에서 과거를 나타낼 때 용언이 양성모음이면 ‘았’을 쓰고 음성모음이면 ‘었’을 쓴다. ‘길을 막았다’에서 ‘막’의 ‘ㅏ’가 양성이어서 ‘았’이, ‘밥을 먹었다’에서 ‘먹’의 ‘ㅓ’가 음성이어서 ‘었’이 쓰였다. ‘아라/어라’도 마찬가지다. 이런 말소리 현상을 모음조화라 한다. 우리말에서는 소리흉내말에서 두드러진다. ‘촐랑촐랑, 출렁출렁’처럼 양성모음은 양성모음끼리, 음성모음은 음성모음끼리 서로 어울린다. 이런 모음조화 현상이 잘 지켜지는 말이 터키말이다. 터키말에서 복수는 ‘-lar, -ler’로 표현하는데, 이들은 명사에 어떤 모음이 있느냐에 따라 같은 소리를 가진 형태가 선택된다. araba-lar(자동차), ekmek-ler(빵)가 그렇다. 터키말은 우리말보다 더 철저하게 모음조화가 지켜지는 말이다.

이 터키말이 알타이어족 튀르크어파에 든다. 튀르크어파는 역사책에 돌궐로 적혀 있으며, 오래된 비석글이 남아 있을 정도로 역사가 깊다. 그 대표적인 언어가 터키말이고, 거기에서 동북쪽으로 시베리아 동쪽까지 올라가면서, 중앙아시아의 카자흐말·우즈베크말·키르기스말·투르크멘말을 비롯하여, 중국땅에 있는 위구르말·살라르말, 러시아 쪽 알타이말·추바시말·야쿠트말 등 모두 서른 남짓 말이 분포하고 있다. 정도 차이는 있지만, 서로 의사소통이 되기도 한다. 이들 언어를 쓰는 민족들은 대부분 터키언어권에 든다는 유대감이 강하다. 말을 통해 겨레의 유대감을 굳건히 하는 좋은 보기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07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67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620
3150 한글의 약점, 가로쓰기 신문 風文 2022.06.24 1487
3149 질문들, 정재환님께 답함 風文 2022.09.14 1487
3148 대화의 어려움, 칭찬하기 風文 2022.06.02 1489
3147 일타강사, ‘일’의 의미 風文 2022.09.04 1490
3146 성인의 세계 風文 2022.05.10 1495
3145 만인의 ‘씨’(2) / 하퀴벌레, 하퀴벌레…바퀴벌레만도 못한 혐오를 곱씹으며 風文 2022.11.18 1495
3144 노랗다와 달다, 없다 風文 2022.07.29 1497
3143 ‘부끄부끄’ ‘쓰담쓰담’ 風文 2023.06.02 1501
3142 배운 게 도둑질 / 부정문의 논리 風文 2023.10.18 1506
3141 멋지다 연진아, 멋지다 루카셴코 風文 2023.04.17 1511
3140 방방곡곡 / 명량 風文 2020.06.04 1512
3139 형용모순, 언어의 퇴보 風文 2022.07.14 1516
3138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風文 2022.09.03 1518
3137 마라톤 / 자막교정기 風文 2020.05.28 1520
3136 개양귀비 風文 2023.04.25 1521
3135 내 청춘에게? 風文 2024.02.17 1522
3134 괄호, 소리 없는, 반격의 꿔바로우 風文 2022.08.03 1524
3133 말다듬기 위원회 / 불통 風文 2020.05.22 1525
3132 콩글리시 風文 2022.05.18 1530
3131 '넓다'와 '밟다' 風文 2023.12.06 1530
3130 어쩌다 보니 風文 2023.04.14 1531
3129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1.07 153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