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1 11:26

소설속 고장말

조회 수 9426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소설속 고장말

괜찮은 소설들을 읽다보면 모를 말들이 꽤 나오는데도 그냥 큰 줄거리를 따라 어림으로 읽고 지나친다. 박경리의 소설〈토지〉에는 ‘가이방하다’(비슷하다)는 말이 많이 나온다. 전북 방언 화자인 필자는 도대체 무슨 뜻인지 알 수가 없다. ‘깝치다’가 나와서 ‘까불다’가 아닐까 생각했더니 ‘재촉하다’는 뜻이다.

조정래의 〈태백산맥〉에는 ‘느자구’(싹수)가 나오는데 필자는 들어본 적이 없는 말이다. ‘비문하다’(어련하다), ‘왈기다’(으르다), ‘종그다’(노리다), ‘뜨광하다’(뜨악하다) 등 그동안 들어본 적이 없는 낱말들이 상당히 많다.

최명희의 소설〈혼불〉을 보면 ‘보독씨리다’(부리다·넘어뜨리다), ‘애돌하다’(안타까워하다), ‘사운거리다’(살랑거리다) 등 전북 사투리가 많이 나온다. 다른 방언의 화자들이 잘 모르는 말들이다.

소설에는 지역에서 사용하는 독특한 말들이 숱하게 녹아서 실려 있다. 그런데 사전에도 나오지 않는 어려운 고장말을 독자들이 이해하지 않은 채 읽고 넘긴다. 방언사전과 어휘사전이 일부 나와 있기는 하지만 일반인들이 구입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따라서 독자들은 소설에 나오는 고장말을 이해하는 일이 매우 어렵다. 문제를 해결하자면 우선 지방 정부가 지역 언어를 다루는 정책을 제대로 펼쳐야 한다. 중앙 정부도 표준어 정책과 아울러 방언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각 고장말 조사·보급에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47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02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938
48 무꾸리 風磬 2006.11.26 8139
47 메밀국수(모밀국수) 風磬 2006.11.26 9247
46 멍텅구리 風磬 2006.11.26 7174
45 매무시 風磬 2006.11.26 7998
44 망나니 風磬 2006.11.26 7955
43 마누라 風磬 2006.11.26 8381
42 (뒷)바라지 風磬 2006.11.16 7147
41 뒤웅스럽다 風磬 2006.11.16 7565
40 두루뭉수리 風磬 2006.11.16 7843
39 되바라지다 風磬 2006.11.16 14404
38 돌팔이 風磬 2006.11.16 8102
37 風磬 2006.11.06 6888
36 도무지 風磬 2006.11.06 10226
35 댕기풀이 風磬 2006.11.06 13180
34 대충 風磬 2006.11.06 8627
33 대수롭다 風磬 2006.11.06 12654
32 단출하다 風磬 2006.11.06 7818
31 단골집 風磬 2006.11.06 8523
30 닦달하다 風磬 2006.11.06 10973
29 늦깎이 風磬 2006.11.06 6175
28 눈시울 風磬 2006.11.01 6385
27 누비다 風磬 2006.11.01 857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