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7212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강한 바람’만인가?

라디오나 텔레비전의 기상예보는 바람이 불었다 하면 “강한 바람”이 불겠다고 한다. 그것이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바람이 어떻게 불면 ‘강하게’ 부는 것인가? 토박이말이라면 바람이 ‘잔잔하게’ ‘산들산들’ ‘선들선들’ ‘간들간들’, ‘건들건들’, ‘세게’, ‘세차게’, ‘거세게’ ‘거칠게’ ‘매섭게’, ‘모질게’ 불겠다고 예보할 수 있다.

바람은 불어오는 쪽에 따라 ‘샛바람·가새바람·된새바람·강쇠바람’이 있고, ‘마파람·갈마파람·된마파람’도 있고, ‘가수알바람·하늬바람·높하늬바람’도 있고, ‘높새바람·뒤바람·막새바람’도 있고, ‘앞바람·옆바람·윗바람·아랫바람·산바람·골바람·들바람·벌바람·왜바람’도 있다.

불어오는 모습에 따라 ‘산들바람·선들바람·간들바람·건들바람·비바람·고추바람·꽃바람·꽃샘바람·눈바람·늦바람·된바람·매운바람·실바람·서릿바람·소소리바람·손돌바람·황소바람’이 있고, ‘용수바람·회오리바람·돌개바람’까지 있다.

‘강한 바람’이라는 소리는 한자말 ‘강풍’이 있으니 그렇다고 하자. 그러나 “강한 비가 내리겠다”, “강한 구름이 몰려온다” 하다가 지난 겨울에는 “강한 눈이 오겠다”까지 했다. 우리말 씀씀이가 어쩌다 이처럼 무뎌지고 말았을까? 말이 무뎌진 것은 느낌과 생각과 뜻이 무뎌진 것이다. 아해 다르고 어해 다른 우리 토박이말을 살려서 우리의 느낌과 생각과 뜻을 살려야 한다.

김수업/우리말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60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13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045
48 상석 風文 2023.12.05 1324
47 드라이브 스루 風文 2023.12.05 1522
46 '넓다'와 '밟다' 風文 2023.12.06 1625
45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1371
44 어떤 반성문 風文 2023.12.20 1309
43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369
42 여보세요? 風文 2023.12.22 1202
41 '-시키다’ 風文 2023.12.22 1437
40 한소끔과 한 움큼 風文 2023.12.28 1560
39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448
38 ‘~스런’ 風文 2023.12.29 1520
37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470
36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風文 2023.12.30 1298
35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500
34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416
33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348
32 내일러 風文 2024.01.03 1364
31 있다가, 이따가 風文 2024.01.03 1424
30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606
29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516
28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549
27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50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