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26 14:48

맨정신/맨흙

조회 수 8198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맨정신/맨흙

‘맨’에는 세 가지 유형이 있다. ‘맨 꼭대기’, ‘맨 처음’처럼 명사를 꾸미는 구실, ‘이 방에는 맨 책뿐이다’, ‘동생은 맨 놀기만 한다’처럼 서술어를 꾸미는 구실이 있고, ‘맨땅·맨발·맨밥·맨주먹’처럼 몇몇 명사 앞에 붙어 새 낱말을 만드는 구실이 있다. 관형사 ‘맨’은 ‘가장·제일’의 뜻으로 쓰이고, 부사 ‘맨’은 ‘온통·모두 다’의 뜻으로 쓰인다. 앞가지(접두사) ‘맨’은 ‘다른 것이 없는’, ‘다른 것이 섞이지 않은’의 뜻으로 쓰인다. 관형사와 부사로 쓰이는 ‘맨’은 뒤에 오는 낱말과 띄어 써야 하고, 앞가지로 쓰이는 ‘맨’은 뒤에 오는 낱말과 붙여 써야 한다. 앞가지 ‘맨’이 결합된 말 가운데 사전에 오르지 않은 낱말로 ‘맨정신’, ‘맨흙’이 있다. 맨흙과 비슷한 말로는 맨땅이 있다. “그건 술주정이 아니었어요. 맨정신으론 말할 수가 없어 잠시 술힘을 빌었을 뿐이에요.”(홍성원 〈육이오〉) “그 웃음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웃음 뒤에 나타난 것은 맨정신의 얼굴이 아니었다.”(박경리 〈토지〉) “아스팔트가 끝난 길가 맨흙 위에 패어나간 타이어 자국이 남아 있었다.”(이원규 〈훈장과 굴레〉)

 ‘맨정신’은 ‘맑은 정신’, ‘맨흙’은 ‘다른 게 섞이거나 깔지 않은 흙’이다. 앞가지에는 ‘맨’ 말고도 ‘군’(군걱정·군불 …)’, ‘날’(날강도·날김치 …), ‘덧’(덧니·덧쓰다 …) 따위가 있는데, 큰사전들에는 200개 안팎이 수록돼 있다.  

한용운/겨레말큰사전 편찬부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26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78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768
48 상석 風文 2023.12.05 1317
47 드라이브 스루 風文 2023.12.05 1514
46 '넓다'와 '밟다' 風文 2023.12.06 1610
45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1356
44 어떤 반성문 風文 2023.12.20 1304
43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342
42 여보세요? 風文 2023.12.22 1189
41 '-시키다’ 風文 2023.12.22 1425
40 한소끔과 한 움큼 風文 2023.12.28 1551
39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427
38 ‘~스런’ 風文 2023.12.29 1509
37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442
36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風文 2023.12.30 1283
35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490
34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410
33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345
32 내일러 風文 2024.01.03 1353
31 있다가, 이따가 風文 2024.01.03 1419
30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595
29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514
28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547
27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48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