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22 09:07

외국어와 새말

조회 수 10244 추천 수 1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외국어와 새말

새말이 만들어지는 환경은 한마디로 사회 변화에서 비롯된다. 최근 들어 바깥나라와 사람들이 자주 오가고 방송·인터넷의 발달로 여러 나라와 문화권 사이에 소통이 잦아졌다. 외국어를 익히고 쓰는 인구도 부쩍 늘었다. 이런 환경 변화에 따라 외국어에서 비롯된 새말의 비중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남은 생애를 관리해 주는 사람을 일컫는 ‘데스 코디네이터, 데스 컨설턴트’나 졸업한 뒤에도 직장을 구하거나 독립하지 않고 부모에게 의지하면서 사는 젊은이들을 이르는 ‘트윅스터’(twixster)와 같이 외국에서 쓰는 말을 그대로 들여와 사용하는 경우가 가장 흔하다. ‘트윅스터’는 그저 ‘어중이’ 정도에 해당한다. 한때 ‘웰빙’(참살이)이 유행하더니 ‘웰다잉, 웰엔딩’까지 쓰고 있는 것을 보는데, ‘데스 코디네이터’라면 이런 말들과 관련된 새 직종 명칭에 든다.

외국어와 우리말을 합쳐 말을 만드는 때도 있다. 쌀시장이 개방되면서 원산지, 생산 연도, 품종, 무게 등을 거짓으로 표시한 양곡 유통업자를 신고하여 보상금을 타 내는 ‘쌀파라치’(쌀+paparazzi)가 그런 보기다. 갈수록 외국어를 그대로 들여다 쓰는 것에 대한 감각이 무디어지고 있다. 음식점에서 완성된 음식을 구입하여 밖으로 가지고 나가 먹는 음식을 가리키는 ‘길먹거리’와 같이 순우리말로 된 새말들이 대접받는 날이 오기를 기대해 본다.

김한샘/국립국어원 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34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93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850
3434 한글 맞춤법 강의 - 박기완 윤영환 2006.09.04 26270
3433 우리말 속의 일본말 찌꺼기들 風磬 2006.09.07 16124
3432 맞고요, 맞구요 風磬 2006.09.09 16617
3431 에요, 예요 風磬 2006.09.09 20047
3430 요, 오 風磬 2006.09.09 20340
3429 개개다(개기다) 風磬 2006.09.13 16130
3428 개차반 風磬 2006.09.14 16212
3427 겻불 風磬 2006.09.14 16120
3426 괴발개발(개발새발) 風磬 2006.09.14 21215
3425 게거품 風磬 2006.09.14 19606
3424 고명딸 風磬 2006.09.16 15744
3423 고뿔 風磬 2006.09.16 15591
3422 고수레 風磬 2006.09.18 20673
3421 고주망태 風磬 2006.09.21 14397
3420 곤죽 風磬 2006.09.29 12413
3419 괄괄하다 風磬 2006.09.29 14524
3418 구년묵이(구닥다리) 風磬 2006.10.10 15176
3417 꼬투리 風磬 2006.10.10 13707
3416 나리 風磬 2006.10.10 16955
3415 남세스럽다 風磬 2006.10.30 1108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